어느새 가을입니다. 윤동주의 시 '자화상'이 떠오릅니다.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파아란 바람이 부는 가을. 영화는 한 사나이의 이야기입니다. 시에서처럼 밉다가, 가엾다가, 그리고 추억과도 같은 사람이 나옵니다. 반공을 표방하면서도 이면으로는 체제를 위해 북한을 이용하던 시절 '나랏일'에 부름 받아 쓰이다 버림받은 사내. 이는 어쩌면 우리네 슬픈 자화상과도 같습니다.
<실미도>(2003) 생각도 납니다. 국가란 무엇인가요? "국민이 곧 국가"라던 영화 <변호인>의 대사와 너무도 다릅니다. 체제를 위해, 정권을 위해 이용하다가 상황이 달라지자 폐기 처분 당한 그들 역시 대한민국 국민 아니던가요?
국가는 역사를 기록합니다. 소위 공식 역사입니다. 이데올로기를 위해, 국민 통합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택합니다. 고난을 극복하고 발전을 이룩한 위대한 나라. 이것이 국가에 의해 기록된 대한민국의 공식 현대사입니다. 일제에 의한 망국과 식민지 시기, 분단과 전쟁, 휴전과 북한과의 체제 경쟁, 그리고 마침내 이룬 한강의 기적.
그러나 공식 역사가 모든 것을 다 기록하지는 않습니다. 버려진 나머지가 있습니다. 그 나머지 가운데 하나가 영화에 담겼습니다. 개인사 혹은 이면사이기도 합니다. 영화를 통해 기록된 역사는 국가의 공식 역사와 다릅니다. 자랑하고 내세우지 않습니다. 기억하고 성찰합니다. 매끈하게 통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틈새와 균열을 드러냅니다. 사실의 한켠에 감춰졌던 진실을 보게 합니다. 이런 점에서 영화는 일종의 기억 장치입니다.
이 영화는 대세와 주류를 거스릅니다. 그러므로 저항이며 용기입니다. 그리고 이는 예술의 존재 이유 중 하나입니다. 분단의 현실은 여전합니다. 그 공고한 모순과 부조리의 벽에 던지는 작은 돌팔매질이지만, 영화 <공작>은 기억과 성찰의 또 다른 역사를 보여줍니다.
-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