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마다 일이 있지만 이들은 곧잘 물건을 훔칩니다. 옷, 샴푸, 먹거리 등. 때로 낚싯대 같은 고가품을 훔쳐 목돈(?)을 마련하기도 합니다. 가난하니 그러려니 하지만 이들의 삶은 그리 도덕적이지 않습니다. 한 집 사는 사람끼리도 적당히 속이고, 이용하며 삽니다. 그러나 영화는 이들의 삶을 비극적으로 그리지 않습니다. 냉정하지도 않습니다. 때로 경쾌한 재즈 음악을 깔기도 하고, 인물들도 대체로 웃음과 긍정을 보여줍니다.
영화 속 인물들은 세상의 파편과도 같습니다. 현실의 어느 한 곳에도 속하지 못한 채 떨어져 나왔습니다. 가족, 직장, 사교 등의 유형적 현실뿐 아니라 규칙, 제도 등 세상이 돌아가는 주류적 방식에서도 소외됐습니다. 또한 상식이나 윤리, 도덕도 그들을 비껴갑니다. 그런 그들이 한 곳에 모여 삽니다. 하지만 그들에게는 인간 본연의 깊은 무엇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걸 공유합니다. 그것은 존재의 슬픔에 대한 도저한 연민입니다.
이 영화는 전형적인 가족 영화의 틀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가부장적 전통 윤리나 스위트 홈 등의 가족주의를 말하지 않습니다. 여섯 명이 모여 살지만 거의 모든 장면은 두 사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합니다. 할머니와 손녀, 아줌마와 어린 소녀, 아저씨와 소년, 소년과 어린 소녀 등이 각각의 장면에서 나누는 대화, 표정, 행동을 세심하게 관찰합니다. 이 장면들에 사용된 방식이 바로 투 숏입니다. 화면의 크기와 카메라의 위치는 클로즈업, 바스트 숏, 풀 숏, 부감 숏 등 다양하지만 이들 투 숏은 파편화된 인물들이 다시 연결되고, 유기체가 되어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결국 그들은 강제로 뿔뿔이 흩어집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는 봉합된 듯 보이는 세상의 분열되고 해체된 허구적 실체를 깨닫습니다. 좁은 목욕통에 앉은 노부요와 유리, 늦은 밤 눈사람을 만드는 오사무와 쇼타를 그린 투 숏이 아름답게 기억됩니다.
-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