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창희 미디어부 부장 |
언 뜻 들으면 댓글조작 등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네이버가 뉴스편집을 인공지능에 맡기며, 여론독과점을 피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사람이 편집하던 방식을 AI추천시스템에 맡겨 편집을 할뿐이다.
로그인한 사용자에 한해 본인이 직접 메인을 설정해 뉴스배치를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지만, 이 또한 네이버에 콘텐츠 제휴를 맺고 있는 44개 언론사만 선택이 가능하다. 서울에 소재하는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매체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지역에 기반을 둔 언론사는 단 한곳도 대상에 들어있지 못한다. 선택자체가 불가능 하다. 그나마 PC화면에만 지역기반 3개 매체가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다. 모바일 메인화면에서는 철저하게 '지역뉴스'가 배제되어 있다.
네이버의 지역 언론 홀대는 여론형성에서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기에 위험성이 클 수밖에 없다. 지난 선거에서도 이 같은 현상이 여실히 드러났다. 지역 유권자들이 자신의 지역 시장 선거보다 서울시장, 서울 송파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기사에 더 많이 노출되었다. 정작 자신이 선출해야 하는 교육감, 지역구 의원은 누가 출마하는지 조차 모르는 유권자들이 속출했을 정도다.
형평성에서도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지역에 긴급 뉴스가 발생했을 경우 지역기자가 현장에 먼저 도착해 밀도 있는 기사를 포털에 제공해도 서울권에 있는 언론사가 기사를 쓰면 검색에서 하위로 밀려난다. 네이버가 기사순서를 배열하는 알고리즘 중 언론사의 신뢰도를 지역신문보다 서울권 인터넷매체에게 더 많이 배정한 탓이다. 심지어는 특종 취재한 기사도 기사순서에서 밀려나기 일쑤다.
이와 같은 중앙과 지역 간 뉴스 다양성이 결여된 부분에 대해 정치권도 우려를 표하며 정동영 의원이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을 발의했다. 정 의원은 "지방분권시대는 지역 언론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국내 언론환경이 포털중심으로 재편되어 지역 언론이 제 기능을 못하는 것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포털에서 지역 언론의 기사 노출 감소는 지방정부에 대한 관심을 낮춘다"고 지적했다.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은 포털 뉴스서비스 사업자가 이용자 동의를 얻어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 언론의 기사를 일정비율 의무적으로 게재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발의에는 지역 국회의원 12명 외 한국기자협회 소속 10개 지역협회장이 찬성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네이버의 '지역 언론 패싱'에 다같이 힘을 모으며 상생법을 부르짖고 있는 것이다.
네이버뉴스 기사배열 방식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모든 뉴스편집을 AI추천시스템(인공지능)에 맡길 경우 사회적 의미가 있는 좋은 뉴스가 보여지기 어렵다는 우려에서다. AI는 시의성 있는 뉴스를 위주로 보여주도록 시스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열린 '기사배열 공론화 포럼 공청회'에서도 지적이 나왔다. 김성철 위원장은 "건강한 사회를 유지하려면 좋은 뉴스를 사회 구성원들에게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기계가 할 수 없는 능력"이라고 말했다. AI추천시스템(AiRS)인 뉴스 편집의 한계를 지적한 것이다.
네이버는 더 이상 중앙집권형 뉴스플랫폼 독점서비스를 중지하고, 지역 언론이 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생법을 마련하길 희망한다.
우창희 기자 jdnews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