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오랜만이야, 하고 말을 걸어왔다. 일곱 살 때 이후로 말해 본 적도 없는 사이지만 졸업을 앞둔 고등학생답게 진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대화는 몇 분 지나지 않아 금방 바닥을 보이기 시작했다. 상대가 먼저 그럼 잘 지내, 하고 마지막에 어울리는 말을 건넸다. 그때 용기를 냈다. '1학년 때 일 미안해'라고 채팅창에 입력했다.
초등학교 1학년 어느날 짝꿍을 바꾸게 됐을 때, 그 친구 옆자리에 앉는다는 걸 알게 되자 짝꿍이 되기 싫다고 소리 지르며 울었다. 담임선생님에게 혼난 뒤 어떻게 됐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큰 잘못을 저질렀다는 건 울자마자 알 수 있었고, 이후 마주칠 용기가 없어 그 친구를 일부러 피했다.
11년 만에 나누게 된 대화에서라도 어떻게든 사과하고 용서 받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무슨 일을 말하는 건지 모르겠다는 말을 듣고 싶었다. 저지른 일이 상대에게 기억나지 않을 만큼 별일 아니었기를 간절히 바랐다.
'괜찮아. 어릴 때 일인데 뭐. 그럴 수도 있지' 친구의 답장을 보고 절망했다. 그 초등학교 교실의 소동은 그에게 11년간 잊히지 않을 만큼 싫은 기억이었을 것이다. 그 기억이 아무것도 아니길 바란 마음은 최악이었다.
남이 받을 상처를 헤아리지 못했던 일곱 살, 남이 받은 상처의 크기를 멋대로 판단한 열여덟 살의 기억은 삼십대 중반이 된 지금도 가끔 자신을 돌처럼 굳어버리게 한다.
오랜 시간 아파하다가 더는 자신 같은 피해자가 없길 바라며 용기 낸 '미투'. 그 용기를 폄하하는 말이 흔하다. 10년도 더 지난 일을 이제 와서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 그럴 수도 있는거지, 그럼 그때 바로 아니라고 말했어야지, 쉽게 말한다. 피해자는 견딜 수 없이 아파했을 사건을 가해자는 가벼운 일로 치부하고 잊어버리기 쉽다. 살면서 남에게 상처가 됐을 거라고는 생각도 못한 행동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잘못했다는 걸 알고 있는 속마음을 외면한 순간 역시 많을 것이다.
16년 전 갑자기 말을 걸어온 친구의 속마음은 안부를 나누기보다 사과를 받고 싶었던 걸지도 모르겠다. 어리석은 동창에게 사과할 기회를 준 그가 고맙다.
미투 역시 남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부족한 심성을 가졌거나, 자기 마음조차 똑바로 마주 보지 못하는 가해자에게 피해자가 주는 사죄의 기회다. 부디 그 기회를 놓치지 않았으면 한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