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광 이사장 |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5월 기준 청년 실업률이 사상 최악을 기록하였다는 소식에 마음이 무겁다. 글로벌화에 따른 대기업들의 공장 해외 이전과 전통 제조업 몰락이 가장 큰 원인이라지만,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할 것으로 보여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해결의 실마리는 미국, 중국 등 글로벌혁신 기업을 많이 배출하는 나라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국가는 예외 없이 스타트업들이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내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 인근 3개 도시에서는 2013년 한 해 창출된 일자리 11만 개 중 58%가 신생 스타트업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RTP를 벤치마킹해서 만든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우수한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가 RTP보다 더 많이 집적돼 있는데도 스타트업이 잘 생겨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RTP는 처음부터 주 정부, 대학, 연구소, 기업 등 지역의 리더들이 함께 설계하고 협력하여 만든 혁신클러스터다. 지역 내 각 분야를 대표하는 인사들로 구성된 이사회가 RTP 운영의 주요 사항을 결정하는 유기적인 협력 체계도 갖추고 있다. 지역 인재가 지역에서 창업하고, 대학과 연구소의 기술이 기업으로 들어가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반면 대덕특구는 정부가 국가 차원에서 조성해 지역 산업생태계와 교류 없이 독자적으로 성장해 왔다. 대덕특구 연구소와 대학은 지역 내 기업들과의 체계적인 연결고리가 없어 지역산업 발전에 도움 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그동안 대한민국 압축 성장기에 국가가 필요로 한 기술과 인력의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대기업의 자체 R&D 역량 강화에 따라 출연(연)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요즘엔 기술의 수요처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구 내의 기업에 눈을 돌려야 하는 이유다.
미국의 실리콘밸리, 중국의 중관춘 등 성공적인 혁신 클러스터들은 모두 기술공급자가 지역산업 생태계와 긴밀히 연결돼 있다. 이들 지역은 우수한 대학, 연구소뿐만 아니라 창업에 도전하는 젊은이, 그리고 이들을 끌어들이는 도시의 문화, 예술로 활력이 넘친다. 창의적인 젊은이들이 우수한 기술과 만나 스타트업을 만들고 투자를 받아 인재를 채용한다. 혁신성장이 일어나는 것이다.
대전에 기술은 많으나 창업이 잘 안 되는 건 창업가의 DNA가 없는 연구원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2017년 말 기준 출연(연) 연구원 12,559명 중 연구원 창업은 22건에 불과하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다른 도시처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죽음의 계곡에 용감하게 뛰어드는 젊은이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젊은이들을 발굴해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것은 대학의 몫이다.
이들 중 일부가 실제 창업에 도전할 때 필요한 기술을 연결해주고 지원하는 것은 지역 내 모든 혁신 주체들이 힘을 합쳐 해야 할 일이다.
특구진흥재단과 같은 지원기관들은 비즈니스모델 작성, 시제품 제작, 투자 유치 지원 등을 통해 스타트업의 초기 정착을 돕고 리스크를 줄여줘야 한다.
대전시는 젊은이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오히려 다른 지역의 예술가, 스타트업들이 올 수 있도록 값싼 공간과 볼거리, 먹을거리, 즐길 거리를 만들어 줘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네트워킹이 경쟁력이다. 스타트업이 선배 기업인과 만나고, 전통 제조업이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과 만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해 주자.
글로벌 시장을 상대로 도전하는 젊은이와 스타트업이 많은 도시, 구도심의 문화와 예술이 대덕특구의 기술과 조화를 이뤄 혁신성장이 일어나는 '스타트업 대전'을 꿈꿔본다. 우수한 기술 자원을 보유한 대전이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성장을 이루는 유일한 방법이다.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