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조영연 |
산성은 남쪽 배방산(361m)에서 서편 온양(아산), 곡교천 방면으로 흘러내린 줄기 끝부분 250m 정도에 축조됐다. 서쪽 설화산록 맹씨 행단에서 마을 건너산으로, 현지에서는 성재산으로 부른다. 현재 둘레 약 1.5km 가량으로 지역의 산성 가운데 가장 크다. 고기록이나 축성 방법이나 위치상으로 봐도 삼국시대, 특히 백제까지와 연관됐을 것으로 올라가는 것도 가능해 보인다.
성은 인근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배방산으로 연결되는 남쪽을 제외하고는 사면이 막힘없이 두루 조망된다. 특히 이 산성에서는 금성리-학성-무명-물앙-꾀꼴산성-용와산성 라인과, 군덕리-학성-읍내리-성안말-북수리-매곡산성 등 동서로 대치하여 이어지는 두 산성라인 사이로 들어오는 곡교천과 그 주변 평야가 모두 감지되어 그 교통로를 지키는데 방어상 서로 연계활동이 이뤄졌을 것이 분명하다. 그것이 이 산성의 가장 주된 임무다.
곡교천은 아산만으로부터 웅진이나 천안, 청주 등 내륙 방면으로 진입하는 중요한 길목이 된다는 점은 삼국시대는 물론 고려,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현재 아산만이 해군제2함대사령부가 들어서 서해 방어의 중요기지로 부각되는 사실도 고래로부터의 이 지역 관방상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간접적인 단서가 될 것이다.
생각보다 경사가 심한 지형인 탓에 편축했지만 자연적으로 대부분 붕괴됐으며 고압선 철탑 조성관계로 일부 훼손된 부분들도 있다. 성의 모양은 불규칙하긴 하지만 비교적 안부를 중심으로 지형에 따라 들쭉날쭉하지만 경사가 작고 비스듬한 서쪽으로는 약간 둥그스럼하고 동쪽으로 배가 부른 남북 타원형의 평면 형태를 이루고 있다. 사방이 날카로운 석재로 칠팔 미터 정도 3, 4단 높이로 바른층쌓기에 근접하게 쌓은 성벽이 남은 곳도 있다. 성 아래 양쪽 마을로 연결되는 서문지, 북문지, 남문지가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북, 남 방면은 능선으로 연결되며 능선의 양편은 비교적 경사가 심하다.
배방산성 우물과 수로/사진=조영연 |
배방산성/사진=조영연 |
성 주변에는 삼성 전자 관련 각종 산업시설과 그에 따른 건물들, 아파트군들이 곡교천 부근은 물론 곳곳에 가득 들어차 있고 그 사이를 가로지르며, 온양천과 곡교천을 따라 달리는 도로들이 어지럽다. 이제는 온천 휴양도시라는 포근하고 여유로웠던 과거의 이미지는 오히려 뒷전에 처박힌 옛 이름이 되고 말았다.
동천교회에서 오르는 길 바로 좌측에 크라운제과 아산공장이 있어 거기서 나는 과자 냄새가 퍽 구수하다. 서해로 이어지는 석양의 풍경이 아스라하다. 그래도 이순신과 맹사성 등의 명인들과 관련된 각종 유적들이 주변에 있고 설화산 서쪽 기슭에는 아직 때가 덜 탄 외암리 민속마을이 고즈넉해 무거운 관방 유적 답사의 발걸음을 조금이나마 덜어 준다. 성에서 마을 건너편, 조선시대 둘째 가라면 서러울 명재상 맹고불의 700년 전 고택을 들러 고건물을 감상하면서 늙은 은행나무와 고인의 높은 인품에서 우러나는 교훈을 되새겨 봄 직도 하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