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쑥떡 쑥떡

  • 전국

[우난순의 식탐]쑥떡 쑥떡

  • 승인 2018-05-04 09:0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80503_144502515
쑥개떡이다. 요즘 일반 떡집에선 쑥떡을 모양을 내서 판다. 댜행히 어느 떡집에서 예전에 먹었던 투박한 쑥개떡을 팔아 반가웠다.
난 좋고 싫음이 분명한 성격이다. 싫은 것도 많지만 좋은 것 또한 많다. 난 떡을 아주 좋아한다. 냉장고 냉동실엔 늘 떡이 쌓여 있다. 팥떡, 콩떡, 영양떡 등. 때때로 전문 떡집에 한 박스 주문해 냉동실에 넣어 두고 아침 식사용으로 먹거나 산에 갈 때 몇 개씩 싸 갖고 가기도 한다. 회사에서 가끔 떡을 먹을 때가 있다. 누가 상을 타서 자축하는 떡이거나, 백일이나 결혼식 후 답례용 떡 말이다. 작년에 후배가 상을 타서 떡을 돌렸는데 배가 고프던 참이라 서너 팩을 뚝딱 먹어치웠다. 옆에 앉은 후배기자 송익준이 깜짝 놀라 가뜩이나 큰 눈이 왕방울만해서 쳐다봤다. 송익준 기자는 회사 최고의 훈남인데 과자든, 초콜릿이든 군것질하는 걸 본 적이 없다. 하여간 내가 떡 좋아하는 건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오죽하면 생일선물로 떡을 선물 받았겠는가.

정말 맛있게 먹은 떡이 생각난다. 오래 전 초여름에 휴가를 받아 강원도로 여행을 갔었다. 아침 일찍 버스를 타고 강릉에 도착했다. 점심 전이었지만 뱃속에서 화차 지나가는 소리가 들렸다. 터미널을 나오다 입구에서 함지박에다 떡을 파는 할머니가 눈에 띄었다. 쑥 절편이었다. 참기름을 발라 윤기가 자르르 도는 절편을 보자 침이 꼴깍 넘어갔다. 2천원어치 사서 단숨에 먹었다. 시장이 반찬이라지만 그 쑥 절편은 기가 막혔다. 졸깃졸깃하고 고소한 참기름 냄새가 후각을 일깨웠다. 찰진 절편이 씹을 때마다 입 천장과 혀를 감질나게 건드리며 내 입을 맘껏 갖고 놀았다.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만큼 행복한 건 없다.

쑥떡이 먹고 싶어 쑥을 한 바구니 뜯었지만 다 버린 적도 있다. 초등학교 때 학교에서 돌아와 큰 바구니를 들고 들에 나가 어둑해질 때까지 가득 뜯었다. 밭둑에 어찌나 쑥이 많던지 쑥 뜯는 재미에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집에 가서 엄마한테 보여주며 송편을 해달라고 했다. 엄마는 안 된다며 도리질했다. "그건 물쑥이라 먹을 수 없어." 어라, 다 같은 쑥이 아닌가. 그러고 보니 좀 달랐다. 물쑥은 참쑥과 다르게 뽀얗지 않고 보송보송한 솜털도 없었다. 물쑥은 물가에서 자라고 참쑥은 햇볕이 잘 드는 산에 많다. 특히 잔디가 깔려 있는 묘지에서 잘 자란다.

어릴 적 시골에선 떡이 간식이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딱히 먹을 게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가공식품이 흔치 않을 때였다. 다 자연에서 나는 걸로 먹을 걸 해결했다. 그래서 봄이 되면 쑥을 참 많이 뜯었다. 천지에 흔한 게 쑥이었다. 쑥개떡은 봄에 가장 많이 먹은 주전부리였다. 일단 쑥을 삶아 쌀가루와 버무려 절구에 찧는다. 한참을 절구질 하다보면 어느새 싱그런 초록색의 덩어리가 된다. 그걸 손바닥 만하게 납작하게 만들어 가마솥에 'Y'자로 된 나무 기둥을 걸고 채반을 얹어 베 보자기를 깔고 찌면 된다. 요즘 수제 햄버거 등 '수제'가 트렌드다. 집에서 만든 쑥개떡이야말로 진정한 수제 먹거리다. 절구에 찧어서 입자가 다소 거칠지만 얼마나 자연스러운가.



그런데 쑥떡이면 쑥떡이지 왜 쑥개떡일까. 우리말에 '개' 자가 붙은 건 좀 하찮고 막 생긴 것들이다. 개떡, 개복숭아, 개살구, 개망초, 개꿈…. 고 귀여운 '개'가 이처럼 쓸모없는 의미로 바뀌다니, 개들이 알면 서운해 할 일이다. 아마 개는 인간에게 밑도끝도 없이 충성스러워 귀하게 생각하지 않아서인 듯하다. 반면 고양이는 까칠하고 도도해서 섣불리 함부로 할 수 없는 존재로 여겨진다. 한마디로 개를 우습게 안다는 거다. 한 입 베어 먹으면 쌉싸름한 개복숭아는 생각만 해도 침샘이 터진다. 개복숭아는 요즘은 찾기 힘든 토종 과일이다.

몇 년 전 봄에 작정하고 쑥버무리를 시도했었다. 방법은 간단했다. 멥쌀가루는 떡방앗간에서 샀다. 거기에다 쑥과 소금, 설탕을 넣어 버무렸다. 냄비에 찜기를 놓고 베보자기를 깐 다음 버무린 쑥을 설설 뿌려 찌기만 하면 된다. 처음 해보는 거라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 지 몰라서 뚜껑을 수시로 열어 보고 젓가락으로 찔러 보기를 여러 번. 여하튼 익긴 익었지만 쑥버무리는 말 그대로 떡이 됐다. 입체적인 모양은 간데없고 그냥 한 덩어리가 됐다. 쑥에 물기가 너무 많았던 모양이다. 생긴 건 우스웠지만 뭔가 해냈다는 뿌듯함이 컸다. 내가 한 떡이라 그런 지 맛도 별났다.

가끔 예전에 엄마가 해 준 떡이 그리워진다. 요즘은 집에서 떡을 해먹지 않는다. 시장에서 파는 떡이 많아 굳이 집에서 힘들게 해먹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연로하신 엄마보고 떡 해 달란 얘기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맛의 기억은 끈질기다. 나이를 먹으면 어릴 적 먹은 음식을 찾는다. 음식이 주는 위안이 크다. 실향민의 고향에 대한 기억도 따지고 보면 음식에서 비롯된다. 북한에 고향을 둔 사람들은 요즘 부쩍 냉면을 찾는다고 한다. 남북한 훈풍 덕분이다. 이북 사람들이 먹었던 고유의 음식은 뭐가 있을까. 언젠가 그 땅을 밟으며 평양냉면, 개성만두, 북한 쑥떡을 먹을 수 있으려나.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