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이정은기자 |
|
사진=이정은기자 |
|
사진=게티이미지 |
|
사진=게티이미지 |
|
사진=게티이미지 |
|
사진=이정은기자 |
|
사진=게티이미지 |
|
사진=게티이미지 |
|
사진=게티이미지 |
|
사진=이정은기자 |
"고양이 먹이와 물을 주지 마세요."
아파트 게시판에 흔하게 붙어있는 공고문이다. 먹이를 주면 길고양이가 새끼를 낳고 머물게 돼 소음이나 위생 불량에 대한 민원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었다.
길고양이는 주민 간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들에게 먹이를 주는 이른바 '캣맘' '캣대디'가 늘고 있다. 반면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많은 편이다. 이들은 사람의 주거지역이 '길고양이의 소굴'이 되는 것에 우려하며 싫어한다.
대안으로 제시된 게 '중성화 사업(TNR)'이다. TNR은 trap(포획), neuter(중성화), return(방사)의 앞글자를 딴 용어다. 고양이의 무분별한 번식을 막기 위해, 길고양이를 포획해 중성화 수술을 한 뒤 방사하는 것이다.
TNR 된 고양이는 왼쪽 귀 끝을 0.9㎝가량 자른다. 이미 수술받은 고양이를 불필요하게 병원에 데려가는 불상사를 막기 위한 국제표준 표식이다. TNR은 안락사 외 별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현실적이고 인도적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TNR 이후엔 발정울음을 내지 않아 민원도 줄어든다. 올해부터는 국비 예산도 지원하기로 했다.
TNR은 지방자치단체 등에 의해 산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소수의 고양이만 TNR 되면 영역 다툼으로 해당 영역이 붕괴되고 새로운 고양이가 유입돼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관련 전문가는 "고양이는 영역동물이기 때문에 일정 거주영역을 지키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해당 영역의 고양이 70% 이상을 한꺼번에 포획해 중성화 후 정확한 영역에 동시에 풀어주는 '기획TNR'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동물보호 선진국인 영국 정부는 독립자문기구인 농장동물복지위원회(FAWC)가 있다. 독일은 헌법에 동물보호를 국가의 의무로 명시하고 있으며, 뉴질랜드는 동물보호법에 동물을 지각력 있는 존재로 규정했다.
이정은 기자 widdms880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