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를 고요하게 가로지르던 고양이 한 마리를 발견한 건 찰나였다. 자동차는 브레이크를 밟으며 옆으로 비틀거렸다. 고양이 역시 놀라서 걸음을 멈췄다. 다행히 그들은 놀랐을 뿐 다치지 않았다. 좁은 길에서 마주쳤을 때 서로 비켜주려다가 제자리에서 왼쪽, 오른쪽 왔다갔다 반복하는 사람들처럼 잠시 머쓱해졌다가 다시 제 갈 길을 갔다.
그 길을 계속 달리던 자동차는 두 번의 로드킬 현장을 만났다,고 생각한다. 한번은 도로 한복판에 피할 길 없이 누운 고양이의 몸 위를 통과했고, 또 다른 한번은 핸들을 꺾어 밟지 않고 지나쳤다. 그러나 피가 틀림없는, 오래되고 넓은 면적의 붉은 자국이 이어진 길 위에 몇 군데 더 남아있었고 어떤 동물인지 알 수 없지만 털이 붙어있는 작은 덩어리가 주변에 흩어져 있기도 했다.
자동차가 사람과 부딪혔다면, 차에 타고 있던 사람은 당연히 최선의 구조를 해야 한다. 물론 생명의 소중함을 지키기 위해서, 그리고 최소한 도덕적으로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그게 얼마나 당연한지는 쓰러진 사람을 구조하지 않고 달아난 자동차 운전자가 법적 처벌을 받는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알 수 있다.
어떤 짐승은 차에 치이고 난 뒤, 바퀴에 닳고 닳아 보이지 않을 때까지 도로를 떠나지 못한다. 눈에 보이는 형체가 있을 때에도 대부분의 사람에게 혀를 차게 하고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가엽기는 하지만 흉한 모습으로 인식된다. 사람은 자신과 같은 생명체인 짐승이 그렇게 죽어도 어쩔 수 없는 존재, 그래도 되는 대상이라고 생각해 버린다.
사람도 아닌 작은 짐승의 죽음에 왜 신경써야 하는지 의문이라면, 사람을 위한 거라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 로드킬은 당신이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다음 사람의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로드킬에 놀란 차량 운전자가 현장을 피하려고 급히 핸들을 꺾거나 브레이크를 밟을 수도 있고, 동물 사체 때문에 다른 동물이 현장에 나타나 2차 로드킬을 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로드킬을 당한 동물이 살아있다면 지역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 연락하고, 사망했다면 고속도로에선 한국도로공사 콜센터, 국도나 지방도에선 생활민원서비스(지역번호+120)에 전화하면 된다.
메마른 아스팔트 위에서 꿈틀거리던 지렁이를 집어 촉촉한 흙 위로 옮겨주는 사람에게 반한 적이 있었다. 잘 보이지도 않는 존재를 살려주려고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인간적이고 감동적이었다. 인간이 무엇보다 존중받아야 할 가장 위대한 존재라고 생각한다면, 다른 생명의 죽음을 애도할 줄 아는 것도 그 위대한 존재로서 해볼 만한 일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