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식의 이슈토론이 18일 오전 10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도시의 미래, 도시마케팅의 시대"라는 제목으로 진행됐다. (좌측부터)김상률 우송정보대 교수, 이홍준 대전마케팅공사 팀장, 신천식 박사, 박근수 배재대학교 교수. 사진은 금상진 기자 |
18일 오전 중도일보 영상스튜디오에서 '도시의 미래, 도시마케팅의 시대' 를 주제로 진행된 신천식 이슈토론에 참석한 도시마케팅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이같이 밝혔다.
이홍준 대전마케팅공사 팀장은 "도시마케팅은 관광객 유치 뿐만 아니라 투자 유치, 인재 유치 등을 위해 중요한 일"이라며 "여러 성공한 도시들을 살펴보면 전문가 중심의 마케팅 전담 기구를 설치해 자율성을 보장해주고, 장기적으로 일관성과 통일성 있게 추진했다. 단기적 성과에만 치중하면 성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근수 배재대 교수는 "대전을 어떻게 사람들에게 각인시킬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 정책적으로 끌고 가야 하는 사안"이라면서 "어느 도시든 도시마케팅이 중요하다. 대전이 의료관광도시나 첨단과학도시 등 한 방향을 설정하고 시정 역량을 쏟아 장기적으로 집중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주 한옥마을의 경우 초창기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장기적인 투자와 시대적 트랜드가 맞물려 현재는 핫 플레이스로 성장한 사례를 들었다.
김상률 우송정보대 교수는 "대전은 머무는 곳이 아니라 거쳐가는 곳이라는 인식이 많다. 인구 유입이 중요한 부분"이라면서 "도시 마케팅을 통해 어떻게 인구 유입을 할 수 있을지 장기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양양군이 서핑문화를 활용해 젊은층을 유입해 성공한 사례를 소개했다.
대전의 도시 마케팅을 위한 조언도 나왔다. '과학의 도시' 이미지를 살리자는 의견이 주된 내용이다. 김상률 교수는 도시 정체성을 강조하면서 "대전은 과학의 도시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차별성은 느끼지 못한다. 쓰레기통 하나라도 과학 정체성을 담으면 큰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근수 교수도 "과학 도시 이미지를 살리려면 문화와 예술을 접목해 재미와 의미를 줄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과학과 관련된 시설 설치와 기업 유치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전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마케팅공사를 운영 중이다. 이에 대해 박근수 교수는 "개별사업은 열심히 하지만, 일반인들에게 홍보가 부족해 잘 알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장기적인 도시 마케팅을 위한 독립성과 일관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내년 대전방문의 해를 도시마케팅에 활용해야 한다는 점도 꼽았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