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2012년 51.17점에서 2015년 53.95점으로 소폭 상승했으나 아직 부족한 많이 부족한 편이다.
다문화 수용성은 다소 개선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낮고 다문화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나 역차별의 정서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타 국가에 비해 다른 인종, 외국인노동자를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주민에 대해 한국의 문화·관습을 따르도록 요구하는 경향도 커지고 있다. 2015년 실시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 연구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개선 가능성은 낮지 않다.
단일 민족주의 정서가 깊은 만큼 인식 및 태도변화에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나 다양한 참여 활동 등을 통해 수용성 제고가 기대되는 대목이다.
이주민과의 접촉경험과 빈도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육, 행사 등에 참여가 많을 수록 수용성 개선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다문화 전문가들은 “다문화 교육을 기본적 소양교육으로 많은 국민에게 보편적이고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참여와 교류를 통한 실질적 다문화 수용성 제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여성가족부는 대상별 다문화 이해교육을 실시하고 다문화 인식개선 캠페인 등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도모해 왔다. 또한 학계·현장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다문화가족 포럼을 열어 다문화가족 정책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주력했다.
다문화 수용성 제고 측면에서 제도적, 정책적 한계점도 있었다.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개선은 미진한 상황이다. 교육, 홍보 등을 통해 개별 구성원의 인식과 태도 변화에 주력했지만, 향후 법·제도 등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중장기적으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정책과제로 상호 존중에 기반 한 사회적 다문화 수용성 제고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여성가족부와 지자체는 지역주민 모니터링단 운영을 통한 차별적 제도·이슈 발굴로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추진하며, 다문화 수용성 조사 및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현황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 및 환류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여성가족부 등 정부부처는 일반 국민 대상 찾아가는 다문화 이해교육 활성화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적극 추진한다.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미디어 환경 조성 사업도 펼치게 된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