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지사 정완진 옹. |
그는 80년이 더 넘은 그때 그 시절을 또렷하게 기억했다. 당시 그는 일본의 세뇌교육에도 대한민국에 대한 애국심이 꿈틀거렸고, 머리와 마음은 나라를, 몸은 독립을 원했다.
억눌리고 억눌렸던 가슴은 비로소 독립을 꿈꾸게 된다. 이때 같은 마음을 가진 이들로 태극단이 꾸려졌다. 1943년의 일이다. 나라를 나라답게 만들고 싶던 청년들의 꿈은 이해 봄바람이 살랑이던 5월 23일 막을 내리게 된다.
대구상업학교에서 수업을 듣던 정완진 옹은 태극단에 가입했던 이들 중 배신자의 밀고로 일본 형사에게 체포됐다. 죄명은 치안유지법 위반이었다. 6개월가량 유치장에 꼼짝없이 갇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의 온갖 고문을 당했다. 당시를 회상하던 정 옹의 입술이 파르르 떨렸다. 정완진 옹은 "입에 담기조차 힘든 정도의 고문을 다들 당했고, 폭언은 기본이고 폭행도 마다치 않았다"고 말하며 눈빛이 흔들렸다.
이때 목숨을 잃은 이가 3명이다. 일본의 고문이 얼마나 잔혹하게 이뤄졌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날 사건으로 태극단에 가입했던 인물 중 30명이 연행됐고, 정완진 옹을 포함한 12명이 재판에 서게 됐다. 그들은 억울했다. 그러나 차마 입이 떨어지지 않았다. 억압이 기본이었고, 지금처럼 법률적인 자문을 구할 수도 없었다. 그렇게 정완진 옹은 꼼짝없이 갇혔다. 하늘이 도운 걸까. 형무소로 끌려갈 뻔했던 정 옹은 어린 나이 덕분에 재판을 받고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이때 까지만 해도 일본의 세뇌교육이 강하게 일던 시절이라 태극기를 모르는 사람도 있었다고 정 옹은 설명한다. 그는 "일본교육을 많이 받다 보니 민족의식은 10명 중 9명이 마비된 상황이나 다름없었다"고 말했다. 정완진 옹은 3·1 운동보다 3·1혁명이라 부르고 싶다고 말한다. 대한민국 국민의 10분의 1이 참여한 투쟁이 하나의 운동으로 불리기보다 '혁명'이란 단어가 더 어울린다고 그는 설명한다. 정완진 옹은 "명칭 자체를 혁명이라고 하는 게 맞지 않나 싶다"며 "지배받던 그 날을 투쟁으로 맞선 나라는 대한민국이기에 운동보다는 혁명으로 불렸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완진 옹은 정부로부터 공훈을 인정 받아 1990년 건국훈장인 애족장과 1963년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그러나 그는 애국지사란 호칭이 아직까지 부끄럽다고 손사래를 친다. 정완진 옹은 "존경받을 애국지사도 많고, 아직 밝혀지지 않은 사람도 많으므로 나는 그들을 바다에 비유한다면 물방울 같다 할 수 있다"며 "가장 순수했던 시절, 애국심 하나로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그들을 올해도 떠올리며 감사한 마음을 간직하고 있다"고 미소를 띠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