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나이보다 떡국

  • 전국

[우난순의 식탐]나이보다 떡국

  • 승인 2018-02-15 00:38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a10328460
게티이미지 제공
추위를 많이 타는 겨울을 달가워하지 않지만 좋은 것도 있다. 펑펑 날리는 눈과 떡국. 뭐 요즘에는 사시사철 시장이나 마트에 가면 언제든지 떡국떡을 사다 해먹을 수 있다. 허나 떡국은 온전히 겨울에 먹어야 맛있다.

먹는 거라면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정도로 식탐이 많지만 난 요리에는 큰 재주가 없다. 입맛도 시골스러워 집에서 해먹는 건 한정돼 있다. 김치찌개, 된장찌개와 국, 미역국 등과 야채를 이용한 간단한 요리가 전부다. 라면 수제비도 종종 해먹었으나 밀가루가 장에 좋지 않다는 의사의 조언으로 지금은 아주 가끔 먹는다. 초년의 입맛은 평생을 간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성인이 되면서부터는 어릴 적 엄마가 해 준 음식이 당긴다.

초겨울 시골 집에서 김장용 배추김치, 총각김치, 파김치를 가져와 냉장고에 가득 넣으면 한 겨울 반찬 걱정은 끝이다. 냉장고를 열어 볼 때마다 흐뭇한 눈으로 그것들을 쓰다듬어 보곤 한다. 떡국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겨울이 오면 떡국떡을 사는 단골 떡집이 있다. 우선 떡국떡을 찻물에 담가놓고 육수를 끓인다. 다시마와 멸치를 넣고 만든 육수에 떡살을 넣어 어느 정도 익으면 다진 마늘을 넣는다. 떡국이 거의 다 되면 계란을 풀어 넣고 휘휘 저어준다. 마지막으로 깨소금 듬뿍 뿌리고 김을 가위로 잘라 올린다. 난 짠 걸 싫어해서 소금은 따로 넣지 않는다. 육수만으로도 간간하기 때문이다. 아 참, 홍합도 넣으면 정말 맛있다. 반찬은 사곰사곰 익은 배추김치 하나면 된다. 떡국 두 그릇에 김치 한 보시기로 그날 저녁은 거한 만찬인 셈이다.

이제 모든 게 기계화가 된 요즘, 진한 설 풍경은 찾아보기 힘들다. 제사음식도 웬만하면 시장이나 마트에서 사오고 북새통을 떨던 방앗간은 사라진 지 오래다. 설이 오면 시끌벅적한 떡방앗간 풍경이 생각난다. 가래떡 빼러 갈 때 늘 엄마를 따라가곤 했다. 물에 불린 쌀이 쫀득한 가래떡으로 끊임없이 나오는 모습은 어린 나이에 아무리 봐도 신기하기만 했다. 방앗간 주인이 김이 펄펄 나는 가래떡을 일정한 간격으로 끊는 건 대단한 기술을 요하는 것처럼 보였다. 엄마는 옆에서 주인이 잘라주는 떡을 부지런히 양은 대야에 담다가 하나를 집어 내게 먹으라고 건넨다.



가래떡이 살짝 굳으면 간식으로도 그만이다. 조청을 듬뿍 찍어 먹으면 그 맛이란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른다. 조청은 식혜물을 가마솥에서 하루종일 주걱으로 저어가며 뭉근히 끓여야 한다. 도 닦듯이 끈기를 요한다. 짙은 갈색으로 굳으면 달콤하고 구수한 조청이 된다. 많이 만들 수 없는 귀한 꿀이기 때문에 엄마는 조그마한 항아리에 담아 찬장 깊은 곳에 숨겨 놓는다. 내 눈에 발견되면 도둑고양이처럼 몰래몰래 훔쳐먹기 때문이다. 식구들이 없는 틈을 타 검지 손가락을 조청 항아리에 쑥 집어넣어 묻힌 조청을 누가 볼세라 재빨리 핥아먹을 때의 스릴이란….

설날 아침이면 으레 엄마가 속상해 하는 일이 있었다. 큰언니는 떡국을 좋아하지 않았다. 큰언니는 엄마에게 도시로 일찍 나가 직장에 다니느라 고생해서 늘 맘이 쓰이는 맏딸이었다. 그런 딸이 오랜만에 설에 와서 잘 먹지도 않으니 엄마는 속이 상할 수밖에 없었다. 엄마는 명절만 되면 이 세상에 없는 언니 얘기를 한다. 엄마에겐 제일 맘이 걸리는 자식이다. 부모로서 못해 준 것만 생각나는 모양이다. 부모 맘이란 그런 걸까.

즐거운 설이 왔다. 명절은 내겐 포식하는 날이다. 혼자 살며 해먹는 밥이란 사실 그저 그렇다. 간소하기 이를 데 없다. 대개 1식 3찬도 안 된다. 찌개 하나에 구운 김 정도 놓고 먹는다. 설이 다가오면 엄마에게 떡국 노래를 한다. 엄마는 "넌 맨날 밥도 안 먹고 사니?"라며 혀를 끌끌 찬다. 설 아침에 내가 먹는 떡국은 두 그릇은 기본이다. 떡국 수대로 나이를 친다면 난 100살이 훌쩍 넘는다. 아무려면 어떠냐. 나이보다 떡국이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