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인 한밭대 기획처장, 한밭대기술지주(주) 대표 |
최근 정부와 시도자치단체의 각 과 이름에 '일자리'가 붙고, 심지어 대학에도 '일자리' 센터로 이름을 바꾸는 모습이 이해도 되지만, 근본 해결책 모색이 필요하다. 새로운 일자리, 그것도 지속 가능한 일자리는 수요가 크고 지속 가능할 때 비로소 민간과 정부에서 만들어진다. 한 예로 골프산업이 성장하면서 골프장을 가고 싶지만 힘든 예약과 고비용 문제, 기후에 상관없이 즐기려는 욕구가 결합돼 실내골프라는 신사업이 생겨났다. 동네마다 생기면서 전국에 8천여 개의 스크린골프장이 생기자 관련 전후방의 새 일자리 수만 개가 창출되었고, 스크린골프 시장규모는 약 1조원을 넘겼다(2015년 기준). 이 규모가 국내 라면 시장의 절반에 육박할 정도라니 대단한 성장이다. 대전에서 탄생한 골프존(주)은 이처럼 고객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unmet needs)를 찾아 이를 충족시키고, 그 가치를 높여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었다.
일자리 만들기의 핵심인 기업 정책은 세 박자로 완성된다. 외국기업 유치, 기존 기업육성, 새로운 기업 만들기 등이다. 첫째, 외국기업 유치의 경우 싱가폴이나 중국 등 후발국만이 아니라 미국도 총력을 기울인다. 둘째, 기존 기업의 적극적 육성이다.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벤처기업 모두를 더욱 육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10년간 수출품목 순위가 변함없는 현 상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벤처기업을 새롭게 꾸준히 만드는 것이다. 벤처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해 고용창출 효과가 훨씬 크기 때문이다.
대덕연구개발특구는 벤처기업을 만드는 데 효과적인 곳이다. 정부연구개발비의 1/3인 약 7조원이 출연연 등에 투입되고, 카이스트와 한밭대, 충남대 등 국립대학과 한남대, 배재대 등 사립대학이 위치해 기술사업화와 창업을 통해 좋은 일자리창출의 원천이 되고 있다. 2005년 출범한 대덕연구개발특구는 2018년 1월까지 214개의 '연구소기업', 전국적으로 556개의 연구소기업을 탄생시켜 일자리 창출의 한 축을 잘 담당하고 있다. 한 예로 한밭대기술지주(주)는 4년간 30개의 연구소기업을 만든 바 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막 태어난 신생기업들이 걷고 뛸 수 있도록 세심한 성장 지원책이 필요하다. 연구소기업 성장을 통해 청년들이 가고 싶은 '좋은 일자리'(decent job)가 계속 나오도록 '가늘고 긴' 지원책이 필요하다. 일자리창출은 세대 간 갈등 해소의 동력이자, 다음 세대를 위한 기성세대가 짊어질 책임이다. 기성세대의 양보와 희생을 통해 다음 세대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며 세대 간 위기를 해소할 창의적 일자리 정책들을 고민하고 실천하길 소망해본다.
최종인 한밭대 기획처장, 한밭대기술지주(주)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