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봉길 의사상을 중심으로 선호영 박사, 이복순 여사, 이기석 박사, 임창봉 독림가, 이병익 박사, 이구열 회장 동상. |
동상의 의미와 목적을 단박에 설명해주는 게 중구 한밭종합운동장 충무체육관 앞에 윤봉길(1908~1932) 의사 동상이다. 오른손에 수류탄을 들고 힘차게 던질 것 같은 역동적인 이 동상은 1972년 제작된 대전에서 가장 오래된 인체형상 중 하나다. 거북선 모양의 지붕을 씌운 충무(忠武)체육관 앞에 윤봉길 의사 동상이 있고, 그 옆에는 충무로라는 도로가 있으며, 교차로 이름은 충무로네거리다. 1970년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실내체육관 초입에 동상을 세워 민족의 자주독립과 항일정신 메시지를 동상을 통해 시각화했다.
따지고보면 동상으로 인물을 기억하는 문화는 왠지 낯설다. 계룡산 남매탑이나 갑사의 공우탑처럼 무엇인가 기릴 때 전통적으로 사용한 방법은 위패를 모셔 제향하거나 이름과 행적을 기록한 비석과 탑을 거리에 세우는 것이었다. 동상을 세워 역사 속 인물을 현시대에 소환하는 일은 1900년대 초 근대문물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근대 조각세계의 선구자가 충북 청원 출신의 김복진(1901~1940) 조각가라는 점도 흥미로운 일이다.
현대시대의 대전 동상은 어디에 어떻게 있을까.
48년 동안 충청·호남 지역을 돌며 선교와 교육사업에 매진했으며, 1959년 대전대학(현 한남대)을 설립한 한국명 ‘인돈’ 미국명 ‘윌리엄 린튼’(1891~1960) 박사, 대전이안과병원을 세우고 대전보건대를 설립했으며, 충남 공주에 국내 최대 자연사박물관을 세운 이기석(1923~2005) 박사, 동방산업·동방개발·가보식품 등을 창업했고 동방여고와 여중 그리고 혜천대학을 설립한 이병익(1929~2012) 박사가 각각 그들이 세운 학교에 동상이 있다. 서구 장태산자연휴양림에서는 독림가 임창봉(1922~2002) 선생의 동상이 입장객과 눈을 맞추고 중구 대전선병원 입구에서는 병원을 설립한 선호영(1925~2004) 박사의 동상이 “우리는 찾는 모든 이들에게 언제나 제약 없이 최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 충남대 정심화국제문화회관에는 김밥할머니로 알려진 이복순 여사의 흉상이 있으며 이는 대전에 몇 안 되는 여성 동상이다.
동상의 시대는 이제 기업인에게로 넘어왔다. 옛 대전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을 만든 요셉 이구열(1924~2011) 회장과 계룡건설 이인구(1931~2017) 명예회장이 동상을 남겼다.
2018년 우리 손으로 동상을 세운다면 그 대상은 누가될까. 어른으로 덕망을 받아오던 이들이 비위가 드러나며 한순간에 권위를 잃어버리는 시대다. 당신에게 동상을 세울 투표용지 한 장이 있다면 누굴 적겠는가. 적을 이름이 있는 사람이 있을지 의문이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