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이것만은 이루자..!

  • 사람들
  • 인터뷰

[공감]이것만은 이루자..!

최 주 환 (한국사회복지관협회장)

  • 승인 2018-01-02 14:34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최주환
새해가 밝았다. 이 새해에는 묵은 것을 버리고 정말 새로운 것을 온전하게 이루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한다.

우선, 정치판에서 주고받는 말들이 제발 품격을 갖추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 입만 열면 쓰레기 같은 말들을 거리낌 없이 뱉어내는 정치판의 말싸움은 국민의 정서적 건강에도 큰 해악을 끼치는 일이다. 정치인들의 언행은 언론을 통해서 토씨 하나 빠트리지 않고 전달된다. 정치인들이 SNS에 올리는 글까지 끌어다가 보도하는 지경이니 한 줄의 글이나 한 마디의 말이라도 파장을 생각해서 조심하고 정제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요즘 청소년들의 언행을 보면 섬뜩할 정도인데, 이게 다 정치인들의 말싸움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품격 있고 위트가 담긴 말들로 삶에 지친 국민들을 위로하는 한 해가 되기를 진정으로 소망한다.

6월에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통해서 제대로 된 사람을 뽑는 일도 중요하다. 지방자치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성장시키는 근본적인 자양분이다. 지방자치는 민주주의가 기본적으로 작동하는 공간이자 민주주의를 완성시키는 공간이기도 하다. 간혹 이 취지를 왜곡시키는 행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런 사유로 지방자치를 폄훼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지방자치의 역기능적 요소를 걷어내고 제대로 된 지방자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도 6월의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는 매우 중요하다. 파당적 이익에 몰두하거나 개인적인 위세를 즐기면서 거들먹거렸던 인사들은 이번 선거를 통해서 완벽하게 걸러내야 한다. 몇 차례 경험해 봤으니 이번만은 국민을 섬기는 사람들을 우리의 대변자로 선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완벽한 복지국가를 이루기 위해 정부와 정당, 그리고 공무원들이 각별하게 주의를 기울이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한다. 특히 '기본소득보장제' 같은 혁신적인 복지정책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는 원년이 되기를 바란다. 첫 술에 배부를 수야 없지만, 출발점을 제대로 찍어야 온당한 결과에 이를 수 있다. 찔끔찔끔 동냥하듯이 국민들의 주머니를 채우면 갈증만 키우게 된다. 공정한 조세정책을 바탕으로 정부가 국민의 기초적인 생활만이라도 완벽하게 보장하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기초적인 생활이 확보되지 않아서 국민이 삶을 포기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국가의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보편적인 복지국가로 일대 변신을 해야 한다.



정치인들의 말이나 행동 때문에 국민이 피곤한 나라는 미개한 나라다. 한 쪽은 울고 한 쪽만 웃는 나라는 병든 나라다. 국민이 자신의 삶을 저주하는 나라는 나라가 아니다. 2018년에는 이런 일들이 없기를 바란다. 정치인들이 국민의 존경을 받고, 국민들은 걱정 없이 자신의 삶을 영위하는 나라가 2018년에는 반드시 이루어지길 소원한다. 국민 모두가 마음 편하게 사는 나라가 참된 나라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5.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창의적 아이디어로 미래를 연다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