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산성/사진=조영연 |
정상부인 서북쪽에서 남동쪽으로 급경사진 남북 능선을 따라 길게 테뫼식으로 축조했으며 평면상으로는 서고동저의 불규칙한 타원형 혹은 움츠린 해삼형태와 비슷하다. 성벽은 사방으로 바깥쪽이 심한 경사의 자연지세를 활용하면서 편축과 협축으로 쌓았으며 일정하지는 않지만 두께가 비교적 얇은 장방형이자 모서리가 날카로운 석재로 치밀하게 축조했다. 삼년산성과 유사한 점도 있으나 석재간 쐐기 사용 등에 차이가 보인다. 그러나 삼국시대의 각종 상황을 고려할 때 딱히 축성 연대나 축성 주체를 말하기에는 문제가 많다.
성의 둘레는 약 1,100m 가량으로 부분적으로 남은 부분으로 미뤄 높이는 칠팔 미터 정도로 보이며 동서북벽 상당부가 복원돼 오히려 옛모습 찾기에는 지장이 많다. 급경사면의 자연지형을 활용한 까닭에 대체로 삭토 후 편축과 뒤채움의 방식을 취했으나 중요부는 협축으로 두껍게 쌓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성벽은 북문지가 들어선, 최고봉인 서벽부 능선을 8부 정도 감싸면서 남쪽으로 흘려내린 서벽 그리고 동벽 일부는 상당히 복원되었다. 동쪽 계곡부에 성안의 물을 받는 수구가 있다. 수구는 속으로 들어갈수록 경사를 주어 판상석을 깔았으며 폭도 점차 좁혀 들여쌓기를 했다. 전면에서 보면 그 입구는 사다리꼴이다. 출수구의 맨 아랫부분은 두껍고 큰 돌을 20㎝ 정도 돌출시켜 바탕에 깔고 있는데 그렇게 돌출시킴으로써 유수로 인해 성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했다. 수구 양측 벽은 두께 20㎝ 가량의 비교적 큰 돌로 4단씩 약간씩 좁히면서 쌓아 들어갔다. 수구의 상부는 길고 큰 돌을 2단으로 덮어 천장을 이뤘다. 삼년산성의 5각형, 옥천 성치나 문의 양성산성의 방형에 비해 사다리꼴 형태를 취했다. 수구 안쪽에 현존하는 저수지(집수정-현재 복원됨), 우물자리를 비롯 성내에 두 개의 우물자리가 있었다 한다. 산성내에는 모두 네 개의 문지가 있는데 동문지는 수구에서 약간 빗긴 지점에 있으며, 수구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을 좇아 아랫마을로 통행하는 길이 있었을 것임은 대부분의 성들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바다. 특히 동문지는 문턱이 일정한 높이의 석축으로 미뤄 사다리를 이용하는 현문 형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충주산성 평면도/사진=조영연 |
남산성은 소백산맥 중심부인 험준한 죽령과 월악산 일대를 배후로 하는 대림산성과 더불어 온달, 적성산성 곁을 돌아 탄금대 인근 달천강에서 합류하는 남한강 수로와 문경-하늘재-남산성 남쪽 밑으로 지나는 영남대로 두 교통로의 전략적 방어와 경계가 주 임무였다. 또한 지역의 통치와 관련 유사시 입보 방어나 지역 통치를 위해서도 역할을 했을 것이다. 남산 북쪽 계명산(일명 심항산. 773m) 정상에 제천 오현봉수를 받아 이류면 마산봉수로 전달하는 봉수대가 있다.
성의 북쪽 마지막고개는 단양, 청풍 등지의 죄수들의 충주감영 이송시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절망적 고개였다는 마치 베네치아의 통곡의 다리를 떠올리게 하는 전설이 깃들어 있다.
고려 고종40(1253)년 몽고군들의 5차 침입으로 군량이 다한 속에서도 70일 간의 농성전시 방호별감 김윤후(金允侯)가 관노까지 동원하면서 항쟁하여 적을 물리친 사실이 있다. 그 후 몽고군의 재침에도 끝내 불락했다. 이 때의 일로 충주는 목(牧)에서 국원경(國原京)으로 격상되기도 했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