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부산대 양산캠퍼스에서 하나로 원자로 건물의 기둥부 1곳을 실제 크기인 벽체 두께와 크기를 모사해 실험체를 구성, 부산대 지진방재연구센터 교수 연구팀을 통해 실험을 진행했다.
진동대 실험은 하나로 원자로 기둥을 모사한 실험체를 진동대에 고정한 뒤 규모 7.5 가상 지진을 발생시켜 확인하는 절차다.
대전시민검증단의 요구에 따라 검증단의 전문가와 원자력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해 실험을 지켜봤다.
이날 실험은 실험체를 진동대에 고정한 뒤 낮은 크기의 가속도 값을 임의로 1축(軸)에 진동을 더해 실험체의 공진점을 확인했으며, 지진모사 시험에선 하나로에 0.3g 수준의 인공 지진파로 검사했다.
이런 일련과정을 한 번 더 거쳐 실험을 진행했으며, 오는 27일 예정된 진공상자 실험을 완료하면 절차가 끝난다.
시민 검증대의 요구대로 진동대 실험이 진행됐지만, 대전 시민단체의 반응은 차갑다.
재가동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이러한 실험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게 이들의 목소리다.
하나로는 지난 5일 3년 5개월 만에 재가동에 들어갔다가 6일만인 11일 원자로 노심이 든 수조부 상부에 일종의 방어막 역할을 하는 수조 고온층이 얇아지면서 가동이 중단됐다. 이후 10여 일이 지난 현재까지 이렇다 할 원인분석도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시민단체인 핵재처리 실험저지를 위한 30㎞(이하 30㎞ 연대)는 현재의 문제점부터 찾아야 한다고 힐난한다.
3년 넘게 멈췄던 원자로를 다시 돌리려면 더 세심한 점검과 검사가 진행됐어야 한다고 비난한다.
이날 진행된 진동대 실험도 가동 전에 진행했어야 한다는 게 30㎞ 연대의 주장이다.
내부조직 개혁을 통해 허술한 안전시스템과 부족한 안전의식에 대해 반성을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여기에 성급한 재가동 탓에 안전 막이 얇아졌고, 이에 대한 원인부터 찾아야 한다고 비판한다.
이경자 30㎞ 연대 집행위원장은 "20년이 넘은 낡은 원자로인 하나로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없다면 차라리 폐로하는 게 답이지 않겠느냐"며 "진동대 실험도 실험이지만 멈췄을 때의 원인부터 빠르게 찾고, 앞으로 하나로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앞으로의 대책은 무엇인지 시민에게 공개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