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에 틈만 나면 중앙시장에 간다. 중앙시장은 대전에서 규모가 제일 큰 시장인지라 구경거리가 많다. 먹을 것도 수두룩하다. 어느새 떡볶이, 호떡, 부침개 파는 노점도 생겨 그 구역은 그야말로 호떡집에 불난 것처럼 사람들로 북새통이다. 식당도 즐비하다. 보신탕, 설렁탕, 냉면, 칼국수, 중국집 등 만만한 맛집이 줄을 섰다. 그런데 닭개장 파는 식당은 없다. 언젠가 시장 먹자골목을 어슬렁거리다 닭내장탕집을 발견했다. 반가운 마음에 식당 입구에 서 있는 주인 아저씨한테 혹시 닭개장은 안 파냐고 물으니까 그런 건 없다며 훽 들어가 버리더란 말이다. '냉혹혀!' 아, 닭개장이 뭐란 말이냐. 먹을 수 없으면 더 간절해 지는 법. 흡사 이수일이 마음을 줄듯 말듯 하는 심순애 앞에서 오금을 못 쓰는 형국이었다. 닭개장! 꼭 먹고 말겠어.
지난 주말 오전 보문산 등산 후 부사동 쪽으로 갔다. 그때 버스에서 봤을 때 부사동 못미쳐 석교동 쯤으로 짐작해 금산 가는 방향의 대로를 따라 걸었다. 구름 한점 없는 쾌청한 날인데도 바람이 제법 차가웠다. 건널목에서 신호를 기다리는 할머니의 볼이 빨갰다. 장갑, 목도리도 안 하고 어딜 가시는지 원. 마스크, 장갑, 목도리로 중무장한 내가 미안할 지경이었다. 간판을 눈여겨 보면서 걸었다. 정확히 어디인지 모르기 때문에 자칫 못보고 지나치면 헤매기 십상이다. 꽤 많이 걸었다. 석교동을 지나 옥계동까지 왔는데, 이러다 삼천포로 빠지는 거 아닐까. 산에 갔다 왔기 때문에 벌써부터 뱃속에선 화차 지나가는 소리가 들렸다. 1시가 다 되는데 '닭계장'은 코빼기도 안 보인다. 아무래도 닭이 날개가 돋쳐 날아간 낌새다. 지친 발을 끌며 오토바이 가게로 들어가 주인한테 물어봤다. "조오기 급행버스 2번 종점에 있는 거 같은데요. 쫌만 내려가면 돼요."
'금산 황기 닭계장'. 자그마한 식당이었다. 동네 주민인 듯한 아저씨들이 밥 먹으며 왁자지껄 떠들어 식당 안은 열기로 훈훈했다. 닭개장만 하는 게 아니었다. 닭곰탕과 다른 메뉴도 몇 개나 됐다. 두말없이 닭개장을 시켰다. 닭개장이 나오자 감격스러워 나도 모르게 눈이 뚱그래졌다. 어디에나 있을 것 같은 흔한 음식 같은데 밖에서는 이제야 먹어 보는 것이다. 닭보다 훨씬 비싼 게 소고긴데 육개장집은 많고 닭개장 파는 식당은 도무지 볼 수가 없다. 사람들이 육개장을 선호해서 일까. 닭고기를 더 좋아하는 나로선 아쉬울 따름이다. 먼저 뜨끈한 빠알간 국물을 떠먹었다. 칼칼하고 담백했다. 여느 육개장처럼 고사리, 숙주, 대파, 당면, 토란줄기에다 쪽쪽 찢은 닭고기가 들어갔다. 육개장에서 맛볼 수 있는 느끼함이 없고 시원했다. 밥 한 공기를 말아 후루룩 후루룩 먹었다. 추운 데 있다 들어와 뜨거운 김을 마셔서인지 정신없이 콧물이 나왔다. 훌쩍 쩝쩝 훌쩍 쩝쩝. 코 푼 휴지가 쌓여갔다.
수더분하고 표정이 온화한 주인은 인천에 살다 2년 전에 대전에 왔다. 인천에선 백반집을 했단다. 친정이 금산이라 금산에서 가까운 옥계동에 식당을 차렸다고 했다. 올해 나이가 60인 주인은 나이를 먹으니까 어릴 적 살던 고향으로 오고 싶더란다. 갈 수 있는 고향이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총각김치를 베어 먹으며 반찬이 맛깔스러운 게 아주머니 손끝이 야무진 것 같다고 상찬했다. "김 부각도 먹어봐요. 이 반찬들 다 내가 한 거예요. 딴 데서 사오는 게 아녀요." 주인은 배시시 웃으며 반찬 그릇을 내 앞에 디밀어 놓았다. 도톰한 계란말이도 맛있고 김치전도 꿀맛이었다. 식당 음식은 대개 좀 짜기 마련인데 반찬이 슴슴해서 입맛에 딱 맞았다. 입에선 열락을 느꼈지만 위장이 약한 탓인지 저녁에 설사를 했다. 닭개장에 들어간 고춧가루가 좀 매웠던 모양이다.
어릴 적 먹은 고기는 그나마 닭고기였다. 집에서 닭을 키웠기 때문이다. 그것도 자주 먹진 못했다. 식구들 생일날에나 먹는 닭미역국은 지금도 잊지 못한다. 노오란 기름이 동동 뜬 뽀얀 국물은 생각만 해도 입 안에 침이 고인다. A4 용지만한 공간에서 사료만 먹고 자란 지금의 닭과는 비교할 수 없는 맛이었다. 물론 추억의 맛도 빼놓을 수 없을 터다. 다음엔 닭곰탕을 먹으러 가야겠다. 오래 전 먹은 그 맛이 나려나. 아 참, '닭계장'을 '닭개장'으로 바로잡는 임무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놈의 직업병이 깊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