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의 무인이동체를 담당하는 기업은 영세한 중소·벤처기업으로 지난해 기준 세계시장 점유율이 2.7%에 불과하다. 또 원천기술력은 세계최고 수준 대비 60%로 제품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을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때문에 정부는 차세대 무인이동체 기술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향후 10년간의 R&D 추진방향을 제시했다.
우선 무인화와 이동성이란 특성이 결합된 육·해·공 무인이동체가 공통적으로 갖춰야할 6대 공통핵심기능기술을 개발한다. 핵심기술은 탐지·인식과 통신, 자율지능, 동력원·이동,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등 6대 분야다.
탐지·인식은 실내와 비가시권에서 운용할 수 있는 정밀 항법과 항행기술을 개발하고 탐지·회피 센서 등 기존 기술 소형화와 성능향상 연구를 추진한다. 또 실내, 지하 등 위성항법을 사용할 수 없는 가혹환경에서 무인이동체 위치 추정을 위한 관성복합항법센서를 개발한다.
통신 부문에서도 수중·광 통신 등 기술력이 열악한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한다. 더불어 불법행위 방지 기술개발을 통한 운용 안전·신뢰성을 높인다. 전파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수중에서 무인이동체 운용을 위한 수중 통신과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광 통신 기술 등을 개발한다.
무인이동체용 고효율 동력원 시스템도 개발한다. 이종 동력원 간 결합을 통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 신개념 기술을 선점한다. 여기에 운용시간 연장을 위한 다양한 상용에너지 기술을 무인이동체에 최적화하고, 3D 프린팅 등을 이용, 소형·경량화 연구를 지원한다.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도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조종·감독·협업단계로 구분, 조종방식 개발에서 협력기술 개발로 순차적 추진을 꾀한다. 가장 중요한 시스템 통합에선 무인이동체에 자율기능 등 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개발체계 연구와 무인이동체 공동 SW 아키텍처를 개발한다.
정부는 5대 용도별 플랫폼도 개발도 추진한다. 무인이동체 용도를 극한환경형과 근린생활형, 전문작업형, 자율협력형, 융·복합형으로 구분한다. 각각의 용도를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특화기술을 선별하고 개발 일정을 수립하는 등 분야별 R&D 추진방향을 마련했다. 또 이 두가지 기술·플랫폼을 무인이동체 제품으로 이어지도록 산업화를 촉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120억원 규모의 무인이동체 핵심기술개발 R&D를 우선 지원하는 등 10년간 5500억원을 투입한다.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과기정통부는 산·학·연·관이 필요로 하는 무인이동체 핵심기술을 개발·공급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의 견인·조력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