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문제적으로 본 것은 국빈 만찬장에 오른 '독도'라는 이름이다. 도화새우, 꽃새우, 가시배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로 소개됐으면 묻히고 말았을 일이다. '독도새우 잡채를 올린 송이돌솥밥 반상'의 부재료일 뿐인데 그 난리였다. 일상의 음식도 외국 정상 앞에서 당연히 이미지의 탈을 쓴다. 정치 무대에서도 그렇다. 홍어 정치학과 과메기 정치학이 그것이다. 권력 이동으로 가자미 정치학이 나올지는 알 수 없다. 트럼프는 거제도 가자미 맛을 봤다.
메뉴 읽는 법에 '출처를 확인하라'가 있다. 외교 밥상의 소고기는 원산지를 가린다. 조지 부시 방한 때는 한우갈비구이와 미국산 안심스테이크를 준비했다. 광우병 민심을 달랜다는 의도였지만 당시에는 이중구속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에는 음식에 있는 어떤 위계를 봤다. 한우 갈비구이에 미국 역사보다 긴 360년 된 씨간장 소스를 곁들였다. 궁핍했던 시절의 곡물 죽까지 내놓아 6·25로 맺어진 동맹을 환기시켰다. '초딩 입맛' 트럼프를 위해 미국산 소고기 햄버거를 골프장으로 공수한 일본보다 품격 있다. 스토리텔링도 앞선다.
그 스토리를 풍부하게 해준 것이 일본이다. 기본적으로 음식 속에 개인, 지역, 국가의 문화사가 있다. 인천의 밥상에는 개항의 역사가, 대전의 밥상에는 철도 부설의 역사가 서려 있다. 역사적으로 19세기 중국이 개항을 당할 땐 피를 뚝뚝 흘리는 스테이크 요리가 동원됐다. 루스벨트는 영국 왕실을 초대해 잔디밭에서 핫도그 외교를 펼쳤다. 고려를 무릎 꿇린 몽골 군대는 일본을 치려고 안동과 제주에 주둔하면서 소주와 설렁탕을 남겼다. 미국인의 단 것 선
▲최충식 논설실장 |
그뿐 아니라 음식은 이제 적과 동지 구분에 또 쓰인다. 독도새우를 외교적 고려 없이 준비했다지만 지극히 외교적이 됐고 반일 만찬이 됐다. 그게 도리어 잘됐다. 사쿠라에비(벚꽃새우)를 올리든 독도새우를 올리든 남의 집 반찬 투정이나 하는 태도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독도새우라고 부르는 새우는 알고 보면 일본 오호츠크해나 홋카이도에서도 잡힌다. 확실히 음식은 외교였다.
외신은 "미국보다 오래된 콩소스(간장)"에 대해서도 보도했다. 만약 '가을 새우는 굽은 허리도 펴게 한다'에 곁들여 '혼자 여행할 땐 새우를 먹지 마라', '총각은 새우를 먹지 마라'는 말뜻까지 설명했으면 트럼프의 표정이 어땠을까?
새우 외교를 물론 비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얻은 것이 많았다. 이번 한중일 미식외교(美食外交)를 중국 드라마 제목을 살짝 고쳐 '삼국삼색 십리도화(三國三色 十里桃花)'로 평하고 싶다. 그 현생의 언저리 어디쯤을 똑똑하게 거닐었다. 4강 틈바구니에서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거나 고래 그물에 새우 걸리는 일은 모두 없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새우'가 아니다. 음식좌파, 음식좌파 이데올로기나 위장(胃腸)의 애국주의, 그보다 이제까지 부족한 것은 외교적 당당함이었다. 외교가 국제정치 전면에 나선 독도새우만 같다면 '코리아 패싱' 따위 불경한 용어는 꽁무니를 빼버릴 것 같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