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용궁에서 짜장면을 먹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용궁에서 짜장면을 먹다

  • 승인 2017-11-10 01:23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71109_131719737
춘향? 춘양? 춘양(春陽)이었다. 춘양의 어원은 어디서 왔을까. 어둑어둑한 가을의 춘양에서는 봄볕(春陽)은 온데간데 없고 골 깊은 찬 기온이 옷섶을 파고들었다. 하긴 봉화 어디엔가 이몽룡의 생가가 있다고 하니 춘양이란 지명이 뜬금없어 보이진 않는다. 10월의 마지막 밤을 며칠 앞두고 춘양에서 짜장면을 먹었다. 욱신거리는 발을 이끌고 춘양역에서 내리는 나를, 그날 우연히 만나 등산을 같이 한 늙수그레한 남자들은 뜨악해서 멀건히 바라보기만 했다. "춘양이 뭐 볼 게 있다고 내린대요? 곧 캄캄해질 텐데….", "참말로 알다가도 모르겠네. 영주에 가서 밥이나 먹읍시다."

5일간의 꿀 같은 정기휴가를 내고 오색 단풍에 취해 산을 오르고 올랐다. 선크림은 물론 로션 하나 바르지 않고 맨 얼굴로 원시인마냥 걷고 또 걸었다. 저녁이 되면 온 몸은 천근만근 물 먹은 솜뭉치가 되어 쓰러져 자곤 하지만 아침이면 언제 그랬냐는 듯 말짱했다. 그게 여행이다. 인간은 놀이하는 동물이라고 어느 인문학자는 통찰력있는 이론을 내놓았다. 놀고 먹고 자고, 이 단순한 명제가 나의 정체성을 확연하게 증명하는 게 신기할 따름이다. 꼭두새벽에 일어나 김밥 사들고 산속에 들어갔다가 오후 늦게 내려오는지라 기름진 음식이 마구 당겼다. 여행 중에는 하루 한 끼만 배부르게 먹는 게 철칙인데 워낙 빡세게 움직이다 보니 에너지가 고갈될 지경이었다.

뭐에 홀린 듯이 서둘러 내린 춘양은 고소한 들깨 냄새가 진동했다. 들판 여기저기 베어진 들깻단이 무더기 무더기로 쌓여 있었다. 한층 누그러진 햇살이 따사로워 길가에 주저앉아 담배라도 피워 물고 싶은 허기가 몰려왔다. 이럴 줄 알았다면 진즉에 담배를 배워두는 건데. 멀리 산 아래 집 굴뚝에서 뽀얀 연기가 피어 오른다. 식욕이 동했다. 춘양은 시골 면소재지 치고는 집들이 널찍하고 우아했다. 어느 집 정원의 늙은 느티나무, 모과나무가 그 집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었다. 한때 번성했던 한 가문의 영락이 고스란히 느껴져 발걸음을 멈추고 담장 틈새로 안을 기웃거렸다. 잡풀이 무성한 걸 보니 나이 지긋한 어른들만 사는 모양이다. '춘양'이라는 고혹적인 이름이 새삼스럽지 않다.

뒤를 돌아보니 기차에서 같이 내린 할머니가 가방을 들고 천천히 걸어오고 있었다. 짐을 들어드린다 해도 꿋꿋이 사양하며 여긴 무슨 일로 왔냐고 물었다. 기차타고 지나다가 춘양이란 이름이 이뻐 내렸다고 하니까 별 싱거운 사람 다 보겠다는 듯이 웃었다. 무릎이 아파 삼척 가서 한약을 지어온다고 했다. 거기에 용하다는 한의원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아침 일찍 갔다가 이제 오는 길이란다.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다. 배가 고파 우선 뭘 먹어야 할 것 같았다. "이 길 따라 조금만 가다가 오른쪽으로 꺾으면 용궁반점이라는 중국집이 나와. 외지인들이 종종 오더라고. 여기 사람들도 많이 먹어."



심청이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고 공양미 삼백 석을 시주하고 인당수에 몸을 던져 간 곳이 용궁 아니던가. 춘향이의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춘양에 용궁도 있고, 하여간 춘양은 까도까도 자꾸 나오는 양파 같은 곳일까. 밥 때가 아니어서인지 용궁은 적요했다. 세 여인이 나를 반겼다. 할머니 한 분과 중년의 여자 둘. 짜장면을 시키고 식당을 둘러보다 깜짝 놀랐다. 어라? 재담꾼 성석제도 다녀갔네. 그가 먹고 중앙 일간지에 쓴 에세이가 인쇄되어 벽에 붙어 있었다. 계란 프라이를 처억 얹은 간짜장이 나왔다. 아, 이 냄새! 입 안에 침이 고인다. 아이 어른 할 거 없이 누구나 다 좋아하는 짜장면. 소스를 듬뿍 넣고 썩썩 섞어 볼이 미어터져라 입에 욱여 넣었다. 내 옆에서 할머니도, 짜장면을 만들었던 할머니의 딸도 짜장면을 먹었다. 또다른 여인은 할머니 딸의 시누이다. 그들과 내가 한 가족처럼 짜장면을 먹었다.

"분천에 산타마을이 생겨서 사람들이 이젠 여긴 안 와. 춘양이 예전엔 장도 크게 서고, 춘양목 들어봤지? 여기 소나무가 유명했거든. 큰 목재소도 있었고…." 쇠락해 가는 마을과 사람들은 왜 매혹을 발하는가. 내가 짜장면을 다 먹은 걸 보고 그 딸이 "밥 있는데 줄까?"하길래 사양했다. 짜장면은 온전히 짜장면으로 끝나야 한다. 딸의 시누이가 진한 믹스커피 한 잔을 타 줬다. 커피를 홀짝이며 봉화 사과가 엄청 맛있다고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하니까 딸이 옆집에서 줬다며 사과 세 알을 봉지에 담아 줬다. 시커먼 하늘에 뜬 고양이 눈 같은 손톱달을 의지하며 버스를 타고 봉화 읍내로 갔다. 언제일지 모르지만 다음엔 나른한 봄볕이 쏟아지는 춘양에서 세 여인과 짜장면을 먹어야겠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