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에서 치킨·떡볶이를? 시민 반응 ‘제각각’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영화관에서 치킨·떡볶이를? 시민 반응 ‘제각각’

  • 승인 2017-08-13 12:09
  • 신문게재 2017-08-14 8면
  • 구창민 기자구창민 기자
영화관 매점 떡볶이ㆍ튀김 세트, 치킨에다 맥주까지

“영화보며 먹는 재미까지” VS “비위생적, 영화관람권리 침해”


대전 시민 김모(34)씨는 지난 주말, 여자친구와 함께 영화관을 찾았다. 회사원이었던 김씨는 한동안 일이 바빠 영화관을 찾지 않았다. 오랫만에 영화를 본다는 생각에 들떳다. 보고 싶던 영화를 선택해 영화표를 2장 구매했다.

그리곤 표 구매대 옆에 있는 매점으로 발길을 돌렸다. 콜라와 팝콘을 사기 위해서였다.

매점은 많이 바뀌어 있었다. 예전보다 판매하는 음식과 음료 종류가 훨씬 많았다. 생각지도 못한 음식물들도 판매대에서 찾을 수 있었다.

떡볶이와 치킨을 등 간단히 먹는 스낵류가 아닌 음식들도 존재했다. 심지어 판매를 독려하기 위해 메뉴로 맥주까지 내놨다.

김씨는 팝콘과 콜라를 사며, “영화관 안에서 먹기에는 너무 과한데, 과연 다른 사람들의 눈초리를 보면서 이것들을 들고 영화관을 들어갈까”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영화관에 들어가자 몇몇의 시민들은 치킨과 떡볶이 등을 사서 입장했다. 영화가 시작됐고 그들은 조용히 천천히 먹었지만, ‘쩝쩝’,‘부스럭’거리는 소리를 숨길 순 없었다.

이에 다른 시민들은 불편해했다.

영화관 내 반입되는 음식물이 다양해지면서 관객들 사이에 논란이 되고 있다. 영화를 보면서 음식을 먹는 게 영화 보는 또 다른 즐거움이라는 주장이 있는 반면, 일부 음식들이 다른 사람의 영화 관람에 방해가 된다며 메뉴 등을 제한해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13일 실제 지역에 있는 영화관을 찾은 결과 매점에서는 팝콘, 나초(과자), 버터구이 오징어 등 간단한 스낵류는 물론 핫도그, 치킨 등을 팔고 있었다.

한 영화관은 각종 양념을 버무린 떡볶이ㆍ튀김 세트 또는 맥주 세트도 찾을 수 있었다.

시민들의 입장은 ‘제각각’이다.

회사원 박모(50)씨는 “아이들이 좋아해 치킨이나 핫도그 등 다양한 음식을 구매해 상영관에 들고 입장한다”며 “영화관을 찾는 또 다른 기쁨”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영화 상영관 음식물 반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팝콘, 탄산음료 등을 넘어 치킨, 떡볶이 등 분식류 반입은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타인의 영화 관람 권리를 침해한다는 입장이다.

주말마다 영화관을 찾는다는 B씨(39)는 “옆에서 치킨을 먹으면 냄새가 심해 속이 메스껍고 영화에 집중이 잘 안돼 인상을 찌푸리게 된다”며 “밀폐된 공간에서 분식을 먹는다는 게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구창민 기자 kcm26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으로 주말 꽃 나들이 오세요
  2. 세종시 나성동 숙박시설 공급 본격화… 최대 700실 예고
  3. 종촌복지관-도담동, '웃기는 경매'로 이색적 나눔 시작
  4. 6·25전투 중 대전전투 재조명… "희생과 헌신 기억할 교육·시설 필요"
  5.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1. 제74주기 대전 산내골령골 피해자 합동위령제 개최
  2. 답보상태 '유보통합', 드디어 밑그림 나왔다
  3. '글로컬 본지정 향해' 건양대 K-국방산업 대전환 포럼… 지자체 등 업무협약도
  4. 세종시, 감염병 전문가 토크 콘서트 개최
  5. [사이언스칼럼] 도파민 대방출의 시대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시가 대전역 주변을 중심으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메가 충청 스퀘어 등 대전역세권 일원이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돼 인근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역세권과 선화구역 일원 142만㎡에 2031년까지 사업비 2조3000억 원을 투입해 메가 충청 스퀘어와 복합환승센터, 문화공간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메가 충청 스퀘어는 소제동 일대 1만4301㎡, 연면적 22만9000㎡의..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엄마 말씀 잘 듣고 있어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27살의 경찰관 아빠는 6살 어린 딸의 머리를 몇 번이나 쓰다듬은 후 집을 나섰다. 쏟아져 내려오는 북한군에 맞서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그의 유해는 2007년 발굴된 후 올해 초 신원이 확인됐고, 2024년 6월 27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지 74년 만에 드디어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경찰청은 27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최근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전사 경찰관에 대한 유해 안장식을 거행했다. 이번에 안장되는 전사 경찰관은 6·25 전쟁 당시 서..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시가 정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제약 바이오 글로벌 중심 도시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개발(R&D) 인력이 풍부한 대전시에 정부와 지자체의 장기간 대규모 지원이 이뤄지면서 바이오 신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결과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대전이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대전은 각종 굵직한 예산과 각종 혜택의 주인공이 되면서 신약 개발 과정에서 겪었던 설움을 한 번에 털어낼 수 있게 됐다. 대전은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