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히또 한 잔 할래?” 응? 모히또? “마셔봐, 너도 반할거야.” 그렇게 나의 모히또 입문은 시작됐다. 여름이 오면 파블로프의 개처럼 반사적으로 모히또가 생각난다. 카페 창가에 앉아 여름 한낮의 이글거리는 땡볕이 내리쬐는 바깥풍경을 바라보며, 모히또를 마시는 느긋한 기분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호사다. K는 내 오랜 친구다. 간호학을 전공한 친구는 서울의 대형병원에서 근무한다. 대전에서 대학을 나온 K는 젊은 날의 추억이 서린 대전이 그리워 종종 대전에 내려와 나와의 회포를 푼다. 육식을 하지 않는 친구인지라 우리가 먹는 메뉴는 늘 한정돼 있어 갈 수 있는 식당은 두세 군데 뿐이다.
그 중 중구청 앞 대흥동 골목에 있는 카페는 우리의 아지트나 다름없다(카페 이름으로 보아 주인은 ‘빨강 머리 앤’ 팬이다). 그 곳에서 친구는 새우볶음밥이나 김치볶음밥을 먹고 난 크림파스타 내지는 돈가스를 먹는다. 이 카페를 벗어날 수 없는 이유를 여러 가지 꼽을 수 있지만 그중 압권은 수프 때문이다.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을뿐더러 식품회사에서 나오는 가루수프를 끓인 것이 분명한데도 거의 중독지경이다. 나와 친구가 의아해 하며 늘 하는 말이 있다. “아무래도 그 수프에 마약성분이 있는 거 같아. 유독 그 수프가 생각난단 말야.” 메인 요리가 나오기 전에 고소하고 뽀얀 수프를 두 컵 가득히 먹은 후에야 우리는 한숨을 돌린다.
5년 전쯤으로 기억한다. 그해 여름 어느날도 맛난 음식을 배불리 먹고 나서 친구가 모히또라는 걸 주문했다. 여태까지 들어보지 못한 이름이었다. 첫 맛을 보자마자 모히또라는 수상쩍은 이름의 음료에 반해버렸다. 난 위장이 약한 탓에 얼음덩어리가 둥둥 떠 있는 아이스커피는 아무리 더워도 입에 댈 생각은 꿈도 못 꾼다. 냉면도 내 돈 주고 사먹은 적이 없다. 땀이 뻘뻘 나는 한여름에도 따뜻한 음식을 찾는 까탈스런 체질이다. 비빔국수와 팥빙수는 예외지만 말이다. 그런 내가 여름만 되면 모히또라는 이 무시무시한 음료를 찾는다.
요놈의 상큼하고 톡 쏘는 모히또를 빨대로 쪽쪽 빨아대던 중 친구 얼굴을 보고 화들짝 놀랐다. 뺨과 눈자위, 목덜미가 발그족족한 게 아닌가. 그러고 보니 나 역시 가슴이 두근거리고 온 몸에 열기가 피어오르며 나른해지기 시작했다. 눈꺼풀이 천근만근이었다. 알고보니 모히또는 단순한 청량음료가 아니었다. 알코올이 들어간 칵테일이었다. 술을 못마시는 우리는 대낮부터 얼굴이 불콰해져서 깔깔댔다. 한참동안 죽 치고 앉아 취기가 가신 후에야 카페를 나올 수 있었다.
마법의 칵테일 모히또. 모히또는 헤밍웨이가 럼주의 나라 쿠바에서 즐겨 마셨다고 한다. 모히또는 그 옛날 해적들이 퍼마셨던 ‘럼’을 기본으로 만든다. 긴 잔에 민트, 라임, 설탕을 넣어 봉으로 민트 잎을 적당히 찧어 즙을 낸 다음 럼과 설탕을 넣어 마신다. 얼음과 소다수를 넣거나 생수를 넣기도 한다. 모히또와 쿠바 그리고 헤밍웨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태생적으로 자유분방했던 헤밍웨이에게 전쟁과 여자, 술은 소설의 원천이었다. 그는 스페인 내전 등 전쟁이 터지면 어디든지 달려갔고 무려 네 번이나 결혼했다. 그것도 모자라 결혼생활 중에도 여러 여자들과 염문을 뿌리는 천하의 마초였다. “가장 훌륭한 작품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을 때 쓸 수 있다”고 말했듯이 헤밍웨이에게 여자는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어 주는 존재였던 것 같다.
전 세계를 내 집 앞마당처럼 누비며 투우를 즐기고 낚시와 복싱에 몰두하는 야성적인 남성 이미지가 강한 헤밍웨이지만 평생 글쓰기에 천착한 집념의 작가이기도 했다. 주어와 동사로만 된 문장을 추구한 ‘하드보일드 스타일’로 유명했던 헤밍웨이는 쿠바 바닷가의 카페에서 모히또를 마시며 ‘노인과 바다’를 썼다. 그러나 젊은 날 몸을 너무 소진한 탓에 노년에 온갖 질병을 끌어안고 살다 결국 엽총으로 자살한 헤밍웨이. 말년에 노벨문학상을 타는 영광을 누렸지만 노년의 외로움과 불안한 성정으로 괴로워했던 헤밍웨이를 생각하며 모히또를 마셔야겠다. 인생은 덧없는 것. 아! 이번 생에 이병헌과 모히또 가서 몰디브 마시는 것은 아무래도 글른 것 같다. 아바나의 별이 빛나는 밤하늘 아래서 헤밍웨이와의 모히또 한 잔은 더더욱 날 새지 않았나.
짠내 나는 인생, 우리를 위로할 수 있는 건 뭘까. 사람이 사람을 위로할 수 없는 세상. 그럼에도 인정이 그리워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소나기가 한차례 지나간 후의 대흥동 그 골목을 오늘도 거닌다. 2층 설탕수박 클럽의 출입문은 굳게 잠겨 있다. 청춘의 한 시절을 열정의 도가니에서 허우적대던 그 남자는 어디로 갔을까. 실연의 상처로 가누지 못할 만큼 소주를 들이켜며 울음을 쏟아내던 어린 후배는 지금 어디서 어떻게 살고 있을까. 세월의 흔적은 먼지가 되어 유리창을 뿌옇게 흐려 놓는다. 인생 뭐 있나. 친구와 모히또 한 잔! 그거면 됐다.
우난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