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천성 왜성 천수각터, 토성과 사천만. |
5회-왜성 선진리산성(船津里山城-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사천읍으로부터 7km 남쪽 한려수도 깊숙한 사천만 안쪽 해안의 돌출부 구릉지에 위치했다. 성의 후면은 산업단지가 들어선 포구로서 해자 구실을 하며, 서쪽은 횟집단지, 남쪽은 조명군총이 자지했다. 지명처럼 과거에는 나루가 있었던 지역이다.
성은 크게 북편 높은 곳의 왜성부와 남쪽 토성부로 나눠졌지만 원래는 하나였던 것 같다. 아마 왜성은 이전의 토성 일부를 파괴하고 왜군의 거점성으로 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왜성은 그 위에 천수각을 갖춘 성벽을 쌓았던 바 현재는 그 파괴된 성돌을 활용, 성벽 일부를 복원해 놓은 상태다. 성내에는 이 복원 성벽 외에 천수각지, 입구와 성문 등을 왜성 방식으로 재현해 놓았으나 그 모습이 모두 낮고 엉성하여 어색하기 짝이 없다.
남쪽 토성은 길이 약 200m 가량의 성벽이 뚜렷하고 그 성벽 밖에 해자로 삼았음 직한 도랑 지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 둘레는 약 2km 넘을 것 같다.
안내 속 내용대로 목책을 세웠다면 남쪽 토성벽 아래 해자 근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토성 내부는 무슨무슨 전수관을 짓는다느니 하여 모두 파헤친 상태이며 문지 등 시설물은 찾을 길 없다. 왜성부 내부에 충무공의 승전비가, 천수각터 정상 중앙에는 6.25 이후 순국장병들의 충렬비가 세워졌는데 어쩐지 격에 맞지 않는 행위인 것 같다.
▲ 사천만과 사천대교 |
토성 등으로 미뤄 대체적으로 고려와 임진란 당시 사천 일대의 격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왜성은 정유재란 무렵(1597. 10) 왜장 모리(毛利) 등이 쌓고 시마즈(島津) 군이 주둔하던 곳이다.
특히 임진란 초기인 1592년 5월 충무공이 13척의 왜선을 격파한 사천해전은 거북선이 최초로 활용된 의의도 있다. 정유재란 말기(1598. 10월 경)에는 조명연합군(朝明聯合軍)이 이 성을 공격하다 화약상자가 폭발, 혼란 속에 오히려 많은 희생자만 낸 채 후퇴했다 한다, 성 앞에 쌓여 악취를 내던 시체들을 모아 매장한 것을 후대에 정리하여 조성한 사각뿔형 조명군총(朝明軍塚)이 토성 밖에 있다.
왜군들은 그들의 전과를 보고하기 위해 베어낸 조선군들의 귀를 가져가 그것들을 모아 만들었다는 귀무덤(耳塚)이 일본 교토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를 받드는 도요쿠니신사(富國神祠) 안에 가토오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와 조선 침략 선봉장이었던 구로다 나카마사의 후손들이 죽은 이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지었다 한다.
이 군총 밖 한 켠에 삼중스님이 일부를 가져와 세웠다는 새로운 귀무덤이 있다. 귀는 썩어 남았으랴만 흙 일부나마 뒤늦게 고국에 돌아온 것이다. 그 때의 핏물이 남았는지 성밖 바닷물이 벌겋다.
조영연 / ‘시간따라 길따라 다시 밟는 산성과 백제 뒷이야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