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문라이트

  • 오피니언
  • 프리즘

[프리즘] 문라이트

  • 승인 2017-06-13 13:26
  • 신문게재 2017-06-14 23면
  • 송지연 우송대 외래교수송지연 우송대 외래교수
▲ 송지연 우송대 외래교수
▲ 송지연 우송대 외래교수
올해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은 영화 <문라이트>의 제목 ‘문라이트’를 통해 새삼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 다소 철지난 글을 발표한다. 어차피 ‘문라이트’엔 철이랄 게 없다. 봄밤에도, 여름밤에도 달빛은 달빛이다. 더군다나 새로 당선된 문 대통령의 별명을 떠올리자니 ‘문-라이트’는 당분간 중요한 화두일 것도 같다.

영화의 제목 문라이트는 인물과 소재가 대놓고 어필하는 사회적 메시지의 뉘앙스 때문인지 ‘인권달빛’ 내지 ‘평등달빛’ 같은 것으로 해석되는 관점이 대세다. 이에 나의 해석안을 보태어 영화의 의미와 개념의 색채를 다른 방향에서 더 풍부하게 밝힐 수 있다면 좋겠다.

우선 내게도 주인공 샤이론과 그의 첫사랑 케빈이 십 년만에 만나는 식당 씬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영화엔 의외의 보편성이 섬세하게 펼쳐져 있다. 인종차별 내지 소수자차별 문제를 뛰어넘는 힘은 어쩌면 순정에 있는가보다. 서로 달라서 끌리고 마는 사랑이 곧 평등의 최종 안착지인 것이다. 샤이론의 뒷모습을 따라가며 나는 진심으로 설?다. 흑인도 아니고 게이도 아닌 내가 그의 감정에 완전히 동화될 수 있었던 건 영화적 장치에 의해 아름답게 조작된 시공간 덕분이다.

다시 제목 이야기로 돌아가서. 달빛에 반사되는 흑인 아이들은 푸르단다. 그런데 말이다. 흑인, 황인, 백인은 있어도 청인은 없지 않나. 다 같이 검어졌거나 다 같이 하얘진 것도 아니고, 아예 현존하지 않는 새로운 피부색이 굳이 거론된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지 않을까. 검은 소년을 푸르게 만들어주는 희망이 아직 현실의 바깥에 있어, 고로 현실은 여전히 암울하여, 달이 화면 안에 잡히지 않은 것이라는 관점을 정설처럼 받아적다가는 “달빛이 없어도 모두가 푸르게 되는 세상” 운운까지 나와버린다. 하지만 왜 멀쩡한 흑인이 백인과 황인과 분간도 안 되게 모두 똑같이 푸르게 보여야 하나? 영화가 그런 유치한 수준의 평등을 말하고 있는 것일까.

영화가 제목으로 내세운 ‘문라이트’란 [비루하고 익숙한 현실을 새롭고 다르게 감각하여 일상적인 삶에 어떤 낭만의 숨결을 불어넣도록 돕는 영화 자체]이기에 어린 샤이론은 그 ‘영화달빛’을 온몸으로 받으며 스크린 한가운데에 서 있었던 것이다. 문라이트는 밤처럼 까맣게 암전된 극장에서 뿜어져 나오는 스크린의 빛, 바로 영화의 빛이다. 카메라로 통하는 관객의 시선이 주인공에게 달빛이고 희망이다. 달은 화면 바깥에 있을 수밖에 없다. 달이 곧 카메라 렌즈 너머 ‘나=관객’의 눈동자라면.

하얀 종이도 붉은 조명 하에선 붉게 보이기 마련이다. 그건 조명에 의한 거짓일까. 원래 영화란 게 조작된 담론이다. 인식의 틀을 결정하는 조명으로서의 달빛이란 [‘조작된 감각’을 통한 ‘진실한 환상’], 다시 말해 감독이 영화상에서 이미 각종 소리와 색감의 아름다운 배치로써 구현해온 그토록 신비로운 영화적 순간의 마법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모네가 포착해낸 빛의 미학을 떠올려도 좋고, 무엇보다 감독이 오마주한 왕가위의 필름이 그러하듯 말이다.

결론적으로 ‘푸르게 빛나는 흑인 소년’은 기계적으로 추구되는 차별 없는 세상의 이상적 경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어두운 극장 안의 달빛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환상적으로 낯선 진실을 가리킨다. 보잘 것 없는 삶을 비추는 카메라 필터이자 스크린의 빛이 문라이트다. 흑인 성소수자의 삶에도 작게 빛나는 낭만의 순간이 깃든다는 것을 잊지 말고 살아가자. 그게 이를테면 ‘영화달빛’이 주는 평등의 힘이다. 모두의 삶이 그렇다. 보잘 것 없지만 한편 신비롭다. 진짜 힘센 위로는 여기에 있다. 빛바랜 블루란 아주 특별한 왜곡이다.

샤이론은 <문라이트>라는 제목의 ‘문라이트=영화’ 안에서 푸르게 빛나고 관객은 ‘어두운 밤=극장’ 안에 앉아 <문라이트>라는 제목의 ‘문라이트=영화’를 본다. 포스터의 소년은 정확히 이 순간을 보여준다. 나의 ‘눈’이 ‘달’처럼 그를 푸르게 비춘다.

송지연 우송대 외래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3.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