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ㆍ배분ㆍ인간중심 함께 가야
대전시가 ‘4차산업혁명 특별시’ 조성을 위한 로드맵을 그리는 가운데 기술 발전으로 사라지는 일자리에 대한 고민을 병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4차산업혁명이 전 세계적인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으면서 미래학자들은 다양한 변화의 모습을 예측했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의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그 부정적 효과로 양극화 심화, 대량실업, 인간의 효용가치 하락, 기계의 인간지배 등이 꼽히고 있다.
12일 오전 중도일보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서 정용길 충남대(경영학과) 교수는 4차산업혁명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분배와 복지 정책의 중요성을 거론했다.
정 교수는 “‘혁명’이라는 단어를 쓴 이유는 기술이 융합되고 스마트되면서 변화를 가져오는데 그에 따른 긍정적 측면뿐 아니라 부정적 측면에 주목하는 부분이 많다”며 “1차에서 2차산업으로 변할 때와 2차에서 3차로 변할 때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기계가 대신하며 없어지는 일을 이미 겪은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회 경제적으로 일자리를 잃어버리거나 그렇지 않은 약자에 대한 배려와 관리가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라며 “대전시는 현재 추진하는 4차산업혁명 체계에 관심을 가지며 파생되는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 교수는 또 “전문가에 따르지만 일자리 500만개 정도는 사라질 것이고 4차산업혁명의 성과는 특정한 소수에게 몰릴 것”이라며 “대부분의 사람은 빈곤의 늪에 빠지고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몇몇 계층만이 부를 늘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빈부의 격차 해소를 위해 자원을 배분해야 하고 가진 자는 곳간을 열어 없는 사람에게 이전해야 한다”며 정부의 분배와 복지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신천식 박사는 “4차산업혁명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어야 한다”며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는데 그 방향이나 범위의 충격 여파가 어느 정도일지를 예측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문학적 시각으로 4차산업혁명을 주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공통적으로 나왔다.
유세종 대전시 경제국장은 “그간 인류 역사를 봤을 때 일자리가 바뀌는 것이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며 “일자리의 절대량이 줄어드는 혁명은 없다고 하는데 기존보다 인문학적이고 창의적인, 결국엔 사람에 대한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끝으로 정 교수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대전 미래에 희망을 줄 수 있는 경제정책이 있어야 한다”며 “단순한 정권 교체가 아닌 새 정부에서는 공정하고 반칙 없는 사회로 가면서 사회적 약자가 가진 어려움과 복지에 적극적이어야 하며 대전시도 이와 발맞춰 지역의 현안에 다가가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임효인 기자 hyo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