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명석 영문학 박사ㆍ세종교육연구소장 |
필자는 늘 이런 의문을 갖는다. 왜 학교는 나름의 교육과정 속에서 열심히 학생들을 지도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비인간적으로 변해가고 있고, 왜 교회와 사찰은 도처에 늘어만 가는데 세상은 정화되기는 커녕 도덕적으로 타락해 가는가.
학생들에게는 여전히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교사들에게는 학생들 지도에 대한 스트레스, 그리고 부모님들은 자녀교육에 대한 불안감이 우리교육에 봉착하고 있는 최대의 고민이요, 쟁점이다.
매년 새 학기가 되면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가 최대의 과제이다. 국가가 제시한 천편일률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지만, 지금까지 우리 교육이 진정으로 바뀌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가.
지금 우리가 가르쳐서 개선해야 할 최대의 문제점은 과도한 학교폭력, 공존교육의 부재, 그리고 교육의 정체성 결여이다.
이런 문제들이 물론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그래서 대안적 해결방안으로 세가지를 생각해본다.
우선, 학교 폭력 때문에 우리 아이들이 참으로 위험하다. 그리고 한국의 미래가 참 암울하다. 적어도 매일같이 뉴스를 장식하는 학교폭력 사례를 보면 그렇다.
정부와 지자체·경찰·사법부까지 한 나라의 온 기관이 ‘학교폭력 근절’에 사활을 걸고 있다. 심각한 문제다. 대책을 내놔야 하는데, 그때마다 ‘땜질처방’으로 지적받는다. 안심이 되지를 않는다. 넘치는 ‘학교폭력 대책’이 오히려 교육의 본질을 흐릴까 더 불안해진다.
사회의 정의가 바탕이 된 인성교육 부재, 아이들의 마음을 살피지 못하는 어른들의 의식 지체가 오늘날의 학교폭력을 부채질 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우리사회는 지금의 교육은 ‘공존’보다는 남을 ‘이기는 방법’에 초점이 맞춰있다. 현재의 경쟁시스템과 학력만을 강조하는 분위기에서는 더 이상 한국교육의 희망을 찾을 수가 없다. 학교 간 경쟁을 부추기는 각종 시험은 전면 자율로 바꿔야한다.
학교교육은 이제 경쟁교육에서 탈피하고, 더불어 공부하는 협력적인 학교문화를 이뤄야 한다.
우리가 학생들에게 삶의 철학을 심어줬는가,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진로교육을 해줬는가, 공부하도록 잘 밀어줬는가, 집에서 안정감을 갖고 할 일을 할 수 있도록 공부 할 분위기를 제공했는가 등을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
이런 관심과 사랑이 결여되면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는 무너지게 된다. 왜냐하면 아이의 성장에 부모자식간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방법은 부모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 부모 간, 부모 자식 간 서로의 공존관계가 없어서는, 학교에서의 가르침이 무의미해진다. 공존한다는 것을 배우지 못하면, 자기 욕구를 다른 방법으로 풀게 된다.
또한, 자기주체성을 어떤 방향으로 가르쳐야 하나.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기 정체성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의식이 자신의 태도와 다른 사람의 삶을 진지하게 바라보게 한다. 또 ‘모든 것은 다 변한다’는 것을 느끼게 해줘야 한다.
하나의 고정관념은 그와 관련한 고통을 낳는다. 편견도 그렇다. ‘정신적 행복’을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 시절부터 이런 의식을 심어주는 나라에서는 이와 관련한 ‘교육’이 따로 중요하다고 얘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은 아이들의 ‘정신적 행복’, 나는 누구인가를 살피게 하는 실존교육이 부족하다. 마음을 스스로 살피는 교육은 어린 시절부터 시켜야한다.
학교는 사회생활을 준비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사회생활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은 혼자 살 수 있는 게 아니다’의 공존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곳. 그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공존하기 위해서는 윤리·도덕·철학과 같은 의식적인 부분의 교육과, 직업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지식을 가르치는 교육이 필요하다. 요즘은 지식에 치우쳐 있다.
공존이란 ‘서로 더불어 도와주고, 행복해지는 것’이다. 실생활에서 겪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공존의 교육’을 가르쳐야한다.
4차혁명의 시대에 맞게 이제 좀 더 똑바로 가르치자. 자존감을 갖고 즐거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주자. 교육하는데 상대적 빈곤을 조장하는 비교문화를 타파하자. 사랑 받은 존재로서 자기에게 주어진 상황과 운명을 받아들이는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사람으로 키우자.
세상의 고통에 반응할 수 있는 유연한 사람으로 이끌어보자. 위정자들과 교육정책입안자들도 정치적 산술게임은 이제 그만하고, 진정성 있는 교육을 실행 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더 이상 대한민국이 로마의 종말이 오질 않길 간절히 바란다.
송명석 영문학 박사ㆍ세종교육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