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리포트 대전] ‘1강’ 文 우세 속 安ㆍ洪 대역전 가능성

  • 정치/행정
  • 국회/정당

[민심리포트 대전] ‘1강’ 文 우세 속 安ㆍ洪 대역전 가능성

  • 승인 2017-04-30 12:04
  • 신문게재 2017-05-01 6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부동층‘밴드왜건’, ‘언더독’ 선택에 승패 갈릴 듯
북핵위기, 사드비용지불 등 안보이슈도 표심향배 변수
투표율, ‘인증샷’, 4차혁명 등 지역공약도 ‘관건’


장미대선이 불과 10일도 남지 않은 가운데 중원의 ‘심장’인 대전민심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양강’에서 ‘1강’으로 치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우세가 조심스레 점쳐진다.

하지만, 각종 변수에 따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등 ‘추격자’ 에게도 민심이 빠르게 옮아갈 가능성도 충분하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도 막판 지지율 결집에 나서고 있다.

아직 지지후보를 정하지 못한 부동층이 될 사람을 찍는 ‘밴드왜건’과 약세 후보에 표를 주는 ‘언더독’ 가운데 과연 어느쪽을 택하느냐에 따라 대전에서의 승패가 갈릴 전망이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5~27일 진행한 여론조사(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도 충청권에서는 문 후보 40%, 안 후보 30%, 심 후보 9%, 홍 후보 7%, 유 후보 2% 등이다.

현재로선 대전민심이 문 후보 쪽에 좀 더 기울어 있지만, 이 상황이 끝까지 유지될런지는 장담할 수 없다.

대전역에서 만난 한 이영경(34)씨는 “앞으로 문 후보가 엄청난 말실수를 하지 않는 이상 지지율 격차로 볼 때 무난히 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둔산동에 산다는 김홍갑(60)씨는 “4일부터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는 데 이럴 경우 안 후보나 홍 후보 등이 치고 올라올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고 반대의견을 냈다.

앞으로 남은 기간 변수는 북핵 위기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비용지불 등을 둘러싼 안보이슈가 지역 표심에 어떠한 변화를 불러오느냐이다.

차기 정부에서 대북 정책에 대한 비전을 가장 잘 제시한 후보에게 표심이 쏠릴 수밖에 없는데 보수-진보 진영 후보끼리 입장이 갈리고 있다.

문 후보와 심 후보는 최근 TV토론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한미군 사드비용 청구’ 발언에 “다음정부에서 논의하자”, “동맹국 맞나”라며 일제히 우려를 표했다.

반면, 중도보수 진영인 안 후보와 홍 후보, 유 후보는 “이미 한·미 합의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부담할 일은 없을 것으로 (발언의)다른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투표율과 4~5일 치러지는 사전투표 ‘인증샷’도 등도 대선 당일 대전의 표심에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대전지역은 2002년 16대 67.6%(전국평균 70.8%), 2007년 17대 61.9%(전국 63%)으로 투표율이 낮은 편이었지만, 2012년 18대에는 76.5%(전국 75.8%)로 높아졌다.

국정농단, 탄핵 등으로 조기 대선으로 치러지는 이번에는 투표율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각당 대전시당은 저마다 젊은층 참여와 보수층 결집 등을 들어 “우리에게 유리하다”는 아전인수 전망을 내놓고 있는데 실제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주목된다.

사전투표도 대전표심을 흔들 수 있는 변수다.

이번에는 ‘엄지척’, ‘V자’ 등 특정후보를 연상하는 ‘인증샷’을 SNS에 올려도 되는데 표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사전투표기간 공개되는 지역 투표율에 따라 9일 ‘본게임’에 앞서 각당 대전시당이 막판 전략을 수정할 수도 있다.

부동층들은 각 후보가 제시한 지역 공약에 따라 막판 표심을 정할 가능성도 다분하다.

5당 후보들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메카인 대덕특구를 활용한 4차산업혁명 전진기지 육성, 옛 충남도청부지 개발, 호남선KTX 증편, 순환교통망 확충, 대전교도소 이전 등을 제시하고 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5.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1.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2.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3.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