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OX] ‘거시기’가 표준어라고?

  • 문화
  • 우리말OX

[우리말OX] ‘거시기’가 표준어라고?

[김용복의 우리말 우리글] 제246강 발음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1) 제1절 자음

  • 승인 2017-03-29 09:26
  •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 게티 이미지 뱅크
▲ 게티 이미지 뱅크


[김용복의 우리말 우리글] 제246강 발음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1) 제1절 자음

제4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안을 버림.
예)가을-갈이(가을-카리) / 거시기(거시키) / 분침‘分針’(푼침)

♣해설
제3항은 거센소리로 나는 것들을 표준어로 삼았다 하고, 제4항에서는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것들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입니다. 헷갈리는 발음 변화의 규정입니다.

♥ ‘거시기’의 뜻 세 가지

‣인칭 대명사로서의 ‘거시기’ -이름이 바로 생각나지 않거나 직접 말하기 곤란한 사람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예) •너 어렸을 때 거시기 하고 뒷동산에서 놀던 생각나니?
•거 누구냐, 전주가 집이라던 거시기는 요즘 통 안 보인다.

‣지시 대명사로서의 ‘거시기’-이름이 바로 생각나지 않거나 직접 말하기 곤란한 사물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예) •철수야, 그 옆에 거시기 좀 갖고 와 봐.
•요즘에 왠지 어렸을 때 먹었던 거시기가 먹고 싶다.

‣감탄사로서의 ‘거시기’-하려는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말하기 거북할 때 하는 말. 예) •거시기, 길 좀 물어 봅시다.

♣이렇게 알아두세요.
‣현행법에 의하면 유성 파열음은 항상 ‘ㅡ’를 붙이는 것에 있어서 변동 된 것은 없으나 무성 파열음 경우는 위의 두 경우에 따라서 ‘ㅡ’를 붙이지 않고 받침으로 사용된다는 점이 달라졌습니다.

‣다음 외국어 ‘net, set, mat dot, cut’ 의 표기[발음]는 '넷[넫]', '셋[섿]', '멧[멛]', '돗[돋]', '컷[컫]'으로 읽어야 합니다. 말음에 ‘ㅡ’를 붙여 ‘네트’, ‘로 읽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모든 외래어가 현행 표기법에 의해서만 표기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유성 마찰음인 경우는 mug-'머그', gag-'개그', herb-'허브', head-'해드' 이렇게 표기해야 하고 또 다른 경우는 bag-'백', lab-'랩', web-'웹' 등이 있습니다. 이는 이미 굳어진 말은 그대로 인정한다는 것이지요. 따라서 외래어에 두 가지 표기법을 허용하면서 그 의미가 두 가지로 나뉘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는데 그 예가 cut입니다.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cut '컷[컫]'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컷[컫]', '커트' 두 가지가 인정되면서 약간의 의미차이가 발생되었습니다. 즉 '커트'는 머리를 자르거나 탁구 등의 운동에서 공을 깎아 치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컷[컫]'은 영화 따위의 장면이나 작은 삽화를 뜻할 때 주로 씁니다.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대전 대기업 유치, 겉도는 헛바퀴
  2. 철도지하화 발표 코앞… 대전 파급력 등 평가 긍정적 기류
  3. 대전 상장기업 64개 넘어...올해도 달린다
  4. 대전시의회 조원휘 "안산산단 9부 능선 넘어"… 불필요한 책임공방 무의미
  5.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1. [오늘과내일] 역사 속 을사년
  2.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3. 2025 대전 사회복지계 신년교례회 개최
  4. 더불어민주당 각급 위원회 발대식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대개혁 앞장"
  5. 세계로 가는 수자원공사 중동이어 아프리카 시장 진출

헤드라인 뉴스


자원봉사·CCTV 확대 ‘졸속’… 학교안전 근본대책 마련을

자원봉사·CCTV 확대 ‘졸속’… 학교안전 근본대책 마련을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생 피습 이후 돌봄교실 안전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근본적인 학교 안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사건 이후 대책으로 발표한 자원봉사자 배치로는 현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인력과 예산을 투입한 실질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전본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는 17일 오전 각각 대전교육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청의 근본적 학교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현재 돌봄전담사는 오후 7시까지 혼자서 돌봄교실..

대형마트 휴업 평일전환 시 상권매출 3% 상승… 대전 휴일전환 힘 받나
대형마트 휴업 평일전환 시 상권매출 3% 상승… 대전 휴일전환 힘 받나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전환할 경우 인근 상권 평균 매출이 3%대로 상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답보 상태인 대전 대형마트 평일 휴업 전환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다만, 이해 당사자인 노동자 등은 반대 의견을 강하게 내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의무 휴업일을 평일보단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 등이 발의되면서 시일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17일 산업연구원의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 주말 영업은 주변 상권에 평균 3.1% 수준의 매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원은..

`충청광역연합’ 정부재정 필수… 민주당 충청의원들 법안 발의
'충청광역연합’ 정부재정 필수… 민주당 충청의원들 법안 발의

대전과 세종, 충남·북이 함께 출범한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의 재정 지원 근거를 마련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송재봉 의원(충북 청주청원)이 17일 대표 발의한 지방교부세법 일부개정법률안으로, 대전과 세종, 충남·북 국회의원들이 대거 공동 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개정안의 핵심은 지방교부세법 제2조 제2호에 두 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추가해 충청광역연합도 지방교부세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내용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특별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