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세 약화와 환율 상승 영향으로 풀이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 7000달러대에 머물렀다. 2만달러에 진입한 후 10년째 3만달러 고지를 넘지 못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는 2.8%가 늘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은 2만7561달러(3198만4000원)으로 전년(2만7171달러)대비 1.4% 증가했다.
달러기준으로 전년보다 소폭 늘었지만, 3만달러 달성에는 실패했다. 우리나라는 2006년 2만795달러로 2만달러를 처음 돌파한 이례 10년째 3만달러에 도달하지 못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보통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3만달러 진입 실패는 잠정성장률 하락 등 성장세가 약화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환율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160.5원(매매기준 환율)으로 전년보다 2.6% 상승했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달러 환산 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원화 기준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15년보다 4.0% 증가했다.
실질 국내총생산(GDP)는 전년대비 2.8%가 증가했다.
민간 및 정부 소비의 증가율이 높아지고 건설투자의 증가폭이 확대되었으나 설비투자가 감소로 전환했기 때문이라는게 한은의 설명이다.
지난해 국내총생산 성장률을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의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서비스업 증가율은 하락했다.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2011년 3.7%에서 2012년 2.3%로 크게 낮아진 뒤 2013년(2.9%)과 2014년(3.3%)로 조금씩 올랐지만 2015년부터 2년 연속 2.8%에 그쳤다.
물가 등을 고려한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년대비 4.0% 증가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지난해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1999년(35.9%)이후 17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계와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의 남은 돈이 많이 늘었다는 의미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소비지출 비중이 하락 추세를 보이면서 총저축률이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