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문 사회부 기자 |
지난 7일 권선택 대전시장이 확대간부회의에서 1993년 엑스포를 언급하면서 아시안게임 유치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지난 16일 충청권 시도지사 행정협의회에서 권 시장이 아시안게임 공동 개최를 제안했고, 세종시와 충북도가 상당히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시는 대전엑스포가 도시 인프라 구축에 큰 계기가 됐던 만큼, 아시안 게임 유치를 통해 도시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열악한 대전 체육 인프라 확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대전은 대구나 광주 등 다른 광역시에 비해 체육 인프라가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대구와 광주는 유니버시아드대회, 인천과 부산은 아시안게임 등 국제대회 유치를 통해 체육인프라를 확충했다.
대전시는 2011년 기본계획 수립한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 조성이 재원조달 문제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아시안게임 유치로 대규모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면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 조성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세종시도 행정중심복합도시 완성을 기념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국내외에 선포하려면 국가적인 이벤트가 필요하다. 주거, 교통, 생활 등 도시 완성 시점이 계획상 2030년이기 때문이다. 세종시도 체육 인프라가 전무해 이를 구축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충북도 청주국제공항과 KTX오성역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고, 청주 사격장 등 기존 체육시설 활용도 가능하다.
하지만,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재정 부담을 이유로 아시안게임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국제대회 개최 후 자치단체들이 재정적자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인천은 아시안게임 시설 건설과 유지에 1조2000억원의 빚을 지고 있다. 대전시가 좀 더 신중한 자세를 보여야 하는 이유다.
우선 시민들의 공감대를 얻는 것이 최우선이다. ‘정치적 논리’에 따라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 효율적인 대회 유치 방안과 정확한 대회 경제 효과 등을 검토해야 한다. 관련 예산 확보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이를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해 동의를 얻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전시는 아시안게임 유치와 관련, 대전세종연구원에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어 다양한 의견 수렴과 공론화 과정을 밟을 예정이다.
이상문 사회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