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링크 사업에 비해 지원 규모도 커졌고, 사업 선정여부에 따라 대학 자체의 재정건전성 비율 변화, 예산확보 등 많은 부분이 연계돼 있다보니 대학마다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이번 링크 플러스 사업의 경우 대학들에게 자율성을 주고, 사업 제안을 하면 선발해 지원을 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첩보작전’을 방불케하는 사업 발굴에 나섰다.
교육부는 지난달 3일 링크 플러스 육성사업 공고를 발표하고, 오는 2021년까지 ▲산학협력 고도화형과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 사업 선발을 예고했다.
지원대상은 산학협력고도화형은 55개교 내외로,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은 20개교 내외를 각각 선발할 예정이다.
1단계에서 전국단위 경쟁으로 사업학교 수의 2배수인 110개학교 내외를 선발하며 2단계에서는 충청권은 10개내외 등 각 권역별 10개씩 50개교와 권역별 선정 탈락 대학 간 전국단위 경쟁을 통해 5개교까지 55개교를 선발하게 된다.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총 2163억원의 예산이 지원되며 대학당 평균 39억원 내외,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 사업은 총 220억원(대학당 11억원 내외)이 지원된다.
이번에 링크 플러스 사업에 도전장을 낸 대학들은 지역 연계 분야에 중점을 둔 것이 포인트다.
A대학의 경우 지역의 가족 기업과 연계 모델을 만들어 내는데 있어, 공학분야를 비롯한 인문ㆍ사회 분야의 가족기업 친화형 모델을 만들겠단는 계획을 제시했다.
그동안 대학들이 가족 기업과의 모델은 대학들의 공학분야 기술 제휴에만 한정돼왔던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종합대학의 특성을 살려 인문분야, 사회분야, 문화분야, 예술분야까지 확대해 대학의 연구역량을 지역 기업들과 공유하겠다는 포부다.
B 대학은 가족기업 연계에 있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질적인 승부를 통해 내실을 기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양적으로 가족 기업만 제휴해놓고 더이상의 교류나 기술지원, 연계가 없다면 큰 의미가 없다고 보고 있으며, 질적으로 내실을 기해 양질의 협력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C대학은 교육에 키포인트를 뒀다. 대학이 교육을 가장 잘 할수 있는 기관인만큼 학생들뿐 아니라 지역의 교육기관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문턱을 낮춰 지역기업, 지역주민, 지역산업 교육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각 대학마다 특색을 앞세운 산학협력 모델을 제시한 만큼 이번 링크 플러스 사업에 따른 지역 사회와 대학간 연계가 가능한 모델이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다.
지역대 관계자는 “이번 링크 플러스 사업은 하향식 사업모델 설계인만큼 대학별로 자율적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지역사회에 대학의 역할에 대해 많이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라며 “대학들마다 선정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해 준비했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