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넘어지면서 젖혀진 손목, X-레이상으론 아무이상 없었는데…

  • 문화
  • 건강/의료

[건강]넘어지면서 젖혀진 손목, X-레이상으론 아무이상 없었는데…

엄지 쪽 손목에 위치한 주상골, 골절 발생시 혈액막아 괴사 위험 운동할 때 손목보호대 착용해야

  • 승인 2017-01-09 11:06
  • 신문게재 2017-01-10 11면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전문의칼럼] 손목골절

▲김경훈 대전 바로세움병원 관절센터 원장
▲김경훈 대전 바로세움병원 관절센터 원장
겨울철에는 스노보드 및 스키 등의 스포츠 손상에 의한 젊은 연령에서의 손목이나 팔꿈치 골절이 증가한다. 낙상, 혹은 실족으로 손으로 땅을 짚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손목뼈의 골절이다. 손목관절의 골절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골절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초기에는 단순방사선(X-ray)상에서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놓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대부분은 손목이 뒤로 젖혀 지면서 손바닥을 짚으면서 넘어지게 되고, 체중이 손목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요골 골절 및 주상골 골절 등 생각보다 심한 손상이 발생한다.

주상골은 손목을 이루는 8개의 뼈 중에서 엄지손가락 쪽 손목에 위치한 뼈이고 '땅콩' 같은 모양이다. 이 부위에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손목을 움직일 때, 물건을 집을 때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단순방사선에서도 관찰되지 않을 정도의 골절인데도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는 이유는 주상골에 혈액을 공급하는 특이한 혈관 구조 때문이다.

보통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주행은 심장에서 멀어지면서 사지로 뻗어나가는 구조다. 하지만 이 주상골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 혈관이 원위부에서 근위부로 역으로 들어오고 있기 때문에 주상골에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근위부로의 혈액이 차단되게 되고, 근위부 골절편이 괴사될 수 있는 것이다.

치료는 적극적인 치료를 요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 단순방사선 사진에 관찰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손상 기전, 통증의 위치 등을 고려했을 때 주상골 골절이 의심된다면 다양한 각도의 방사선 사진을 추가로 촬영해 보아야 한다. 만약 방사선 사진에 잘 나타나지 않는다면 부목고정을 시행하고 일주일 혹은 열흘간의 간격을 두고 재촬영이 필요할 수 있다.

처음에 보이지 않는 골절이라 하더라도 일주일 혹은 열흘 뒤에는 관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밀검사를 해보겠다면 CT나 MRI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경미한 골절이 관찰되고 전위가 심하지 않다면 부목고정으로 지켜볼 수 있겠으나, 명백한 골절선이 관찰되거나 약간이라도 전위 혹은 각 변형이 관찰된다면 적극적인 수술적 고정법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간단한 고정으로 충분하지만, 혹여 시기를 놓쳐 괴사가 진행된다면 수술이 커지고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이다

증세는 손목 부위의 가벼운 통증이나 약화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 주상골을 직접 눌렀을 경우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골절된 부분이 금만 간 채로 벌어지지 않는 안정골절일 때에는 손목이 삔 경우와 구별하기가 힘들다. 손목부위가 부어 있거나 멍이 생기는 것은 골절과 탈구가 동반된 심한 경우에 볼 수 있고 대부분은 증세가 심하지 않다. 드물게는 골절이 된 지 수년이 지났는데도 증세가 없거나 있어도 심한 운동이나 일을 했을 때에만 나타나는 정도인 경우도 있다. 그 합병증으로는 무혈성 괴사, 불유합, 잘못된 위치로 붙는 부정유합, 손목관절의 불안정성, 외상 후 관절염 등이 나타나기 쉽다. 특히 근위부 골절은 대부분 결과가 좋지 않다.

이 질환은 운동하다가 넘어지면서 손으로 체중을 받치다가 많이 발생한다. 주로 주상골 중간 및 근위부(近位部)에서 많이 발생한다.

스노보드를 탈 경우에는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은 필수이며 인라인 스케이트나 스케이트 보드 등을 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운동하기 전에 안전장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대 청년들 숨진 금산 금강 유역…지난 달 이어 익사사고 반복
  2. 발달장애인 일자리 창출 위해 350만 원 후원
  3. 대전 서부경찰서 "공중화장실 경보등 울리면 112신고 해주세요"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굿네이버스 대전충북사업본부-ETRI아이나무어린이집, ESG 시장놀이 수익금 전달
  1. 한국자유총연맹 대전시지부, 이달의 자랑스러운 회원 시상
  2. 한국영상대학교 '특별한 졸업전시회' 취업문 노크
  3. 중학교 동창들과 금산서 물놀이하다 수심 3m 빠진 20대 4명 사망 (종합)
  4.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새싹등교지킴이' 소양 교육
  5. KH한국건강관리협회, 화물복지재단과 업무협약 체결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