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청사 전경
|
2020년까지 2단계 개발에 접어든 만큼 이전된 행정기관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족성 향상과 정주여건 강화에 역량을 집중할 시기를 맞았다.
그동안 세종시에는 40개 중앙행정기관과 15개 국책연구기관의 이전이 완료했고, 4개 공공기관도 행복도시에 터를 잡으면서 빠른 정착을 보이고 있다.
2012년 국무총리실을 시작으로 진행된 중앙행정기관 이전은 초기 1만5264명의 공무원이 세종시에 둥지를 틀며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새 출발했다.
2013년 한국개발연구원 등 3개 기관 857명, 2014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등 11개 기관 2335명의 국책연구기관 종사자들이 세종시로 자리를 옮겼다. 지난해 말 국토연구원 세종청사가 준공되면서,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약 350여명이 마지막 입주를 기다리고 있다.
이로써 세종시는 2만여 공직자가 근무하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복합도시'로의 기틀을 다져가고 있다.
중앙행정기관과 국책연구기관 등의 이전은 성공적으로 완료됐지만, 도시성장을 견인할 대학·기업 등의 유치와 2030년 50만명 도시건설 목표를 위해선 앞으로 풀어야 숙제가 많다.
우선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는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국가균형 발전이라는 대명제를 안고 있다. 행정수도 중심의 충청권 상생 발전이라는 시너지 모색도 필수 과제로 꼽힌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충청권 도시간 상생발전을 위해 전력투구하고 있다.
대전~세종~오송 간 간선급행버스(BRT) 노선 구축이 대표적인 사례다. BRT 개통으로 시민들에게 시간과 경비 절약, 편익 증대 등 3가지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 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용객들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이달부터 BRT버스를 3대 증차하고, 2018년까지는 18대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국내·외 유명대학 유치와 함께 인근 대덕연구단지 및 오송생명과학단지 등과 연계한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로서의 첨단기술 산업화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종시 역시 서울-세종 고속도로건설 등의 이점을 살려 첨단산업과 벤처기업 등 유망 중견기업 유치해 지역과 상생을 도모하고 있다.
지난해 행복도시 인접 대전과 상생발전은 물론 동반성장을 견인할 핵심 싱크탱크인 대전세종연구원을 공동 출범해 협력 방안을 찾아낸 것은 좋은 예다.
세종시가 별도의 상수도 관련 시설을 하지 않고, 대전시의 남는 물을 가져다 쓰는 것도 자치단체간 상생의 수범사례로 손꼽힌다.
다만, 인구유입의 '충청권 과다, 수도권 저조'현상은 주변 도시와 상생하는데 발목 잡을 수 있는 만큼,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KTX 세종역 신설과 관련, 인근 청주 및 공주시와의 마찰 또한 도시 간 유기적 협력을 통한 역량 결집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춘희 시장은 “세종시가 실질적 행정수도로 발전하는 것이 충청권 균형발전에 큰 도움이 되며, 이를 위해 인근 지자체와 상생하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동안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도시간 상생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는 만큼 충청권이라는 거대한 공동권이 상생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