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비박 갈등에 분당도 거론되던 새누리당
朴대통령 4월 퇴진·6월 대선 당론 채택하며 공조 분위기
친박과 비박의 갈등으로 분당 위기까지 거론됐던 새누리당이 다시 뭉치는 모양새다.
야권과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추진하던 비박게가 입장을 ‘4월 퇴진’으로 선회하면서 친박계와 공조 분위기가 조성되면서다.
다만 비박계가 박 대통령의 퇴임 시점을 약속하지 않으면 오는 9일 국회 본회의 탄핵안 표결에 참여한다는 방침이어서 친박과 비박이 다시 돌아설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들의 모임인 비상시국회의는 1일 국회에서 비상시국위 회의를 열어 박 대통령 퇴임 시한을 내년 4월 30일로 확정했다.
다만 박 대통령의 퇴진 시점 공개 언명을 탄핵안 표결 불참의 전제조건으로 내걸고, 그렇지 않으면 9일 예정된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탄핵안 표결에 참여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야권과 박 대통령 ‘탄핵 단일대오’를 형성하던 비박계가 박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을 요구해온 전직 국회의장 등 국가 원로와 친박계 주류의 의견을 사실상 수용한 셈이다.
이에 호응하듯 새누리당은 의원총회를 열어 박 대통령의 내년 4월말 퇴진과 6월 대통령선거 실시를 만장일치 당론으로 채택했다.
“진퇴 문제를 국회에 맡기겠다”는 박 대통령의 3차 대국민 담화 이후 비박계는 ‘선 협상, 후 탄핵’을 주장하며, 탄핵 강행 방침에서 한발 물러난 바 있다.
이후 야당과 탄핵 절차를 중단하고 여야 협상에 나서야한다는 친박계와 공감대를 이루면서 당론 채택이 가능했다는 게 당 안팎의 분석이다.
또한 탄핵에 집착하기보다 시간을 두고 안정적 하야를 유도하는 쪽이 온건 성향의 의원들을 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에서 비박계가 전략적 판단을 내렸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같은 비박계의 변화는 사실상 박 대통령 탄핵 절차에서 발을 빼겠다는 뜻으로 여권은 받아들이고 있다.
탄핵안 통과 가능성도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야3당이 모두 찬성표를 던지더라도 정족수(200석)를 확보하지 못해 탄핵소추안의 국회 가결을 위해서는 비박계의 동참이 필수다.
당장 탄핵안 처리 시점을 놓고 더불어민주당은 2일을, 국민의당은 9일을 주장하며 갈라졌다.
물론 친박과 비박의 공조 분위기가 언제든 깨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박 대통령이 퇴진 시점을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을 수 있는데다 여야 협상에서 퇴임 시점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는 의총에서 다루지 않아 당론 채택으로 봉합된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