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티 이미지 뱅크 |
♣오늘은 한글 맞춤법 제6장, 제52항에 규정된 본음(本音)으로도 나고 속음(俗音)으로도 나는 단어들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한자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제52항-
제 52항에서는 한자음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자어의 음은 본음이 있고, 본음이 변하여 언중(言衆)이 다르게 발음하는 속음(俗音)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寧'은 '편안할 녕'입니다. 그런데 '의령, 회령'에서는 [령]으로 발음하죠. 이를 속음이라고 합니다.
이를 활음조 현상이라고도 하는데 활음조 현상은 넓게는 말할 때에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하여, 또는 발음하는 노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소리에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체로 'ㄴ'이 'ㄹ'로 바뀌거나 'ㄴ, ㄹ'이 첨가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활음조’의 효과를 나타내게 하기 위하여 특히 ‘ㄹ’음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예로는 재녕(載寧)→재령, 희노(喜怒)→희로, 허낙(許諾)→허락, 한나산(漢拏山)→한라산, 곤난(困難)→곤란, 안(抱)+음→아름, 폐염(肺炎)→폐렴,
모단(牡丹)→모란 등이 있습니다.
꼭 알아두실 것은 '할아버지'와 '아름'같은 단어들은 순우리말이므로 활음조와는 무관합니다.
예)
(본음으로 나는 것) / (속음으로 나는 것)
승낙(承諾) / 쾌락(快諾), 허락(許諾), 수락(受諾),
만난(萬難) / 곤란(困難), 논란(論難)
안녕(安寧) / 의령(宜寧), 회령(會寧)
분노(忿怒) / 대로(大怒), 희로애락(喜怒哀樂)
토론(討論) / 의논(議論)
오륙십(五六十) / 오뉴월, 유월(六月)
목재(木材) / 모과(木瓜)
십일(十日) / 시방정토(十方淨土), 시왕(十王), 시월(十月)
팔일(八日) / 초파일(初八日)
※ 늘 익혀 두셔야합니다.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