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 DB |
♣오늘도 글 쓰는 분들을 위해 순수한 고유어를 모았습니다.
⟶독자들께서 이것만은 꼭 아셔야 합니다.
⁍‘안되’ 는 틀립니다. ‘안 돼’가 맞습니다.(띄어 써야 맞고요)
⁍‘했읍니다와 먹었읍니다’도 틀립니다. ‘했습니다와 먹었습니다’로 써야 됩니다.
⁍‘할 께’ ‘갈 께’ 놀 께‘는 ’할 게, 갈 게, 놀 게‘로 써야 되며 띄어 써야 맞습니다.
⁍‘할찌’는 ‘할지’로, ‘허위대’는 ‘허우대’로, ‘허위적허위적’은 ‘허우적허우적’이 표준 말입니다.
1, 우듬지: 나무줄기의 끝 부분.
예) 보문산에는 수많은 떡갈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우듬지가 하늘을 찌를 듯이 어우러져 있었다.
2, 다물정신: ‘다물(多勿)’이란 ‘되물린다’ ‘되찾는다’ ‘되돌려 받는다’는 뜻의 순수한 우리말로 고구려 건국정신입니다. 즉, ‘잃어버린 옛 영토를 되찾는다’는 고구려 건국정신이기도 합니다.
예) 해군해병대 간부들은 ‘필승해군 명예해군’ 건설을 위해 다물정신 체득과 국가관을 함양하는 시간을 가졌다.
3, 인두겁 : 사람의 탈. 사람의 겉 형상.(인두껍이 아닙니다)
4, 인부심떡 :아이를 낳은 집에서 사람으로 말미암는 부정(不淨)을 막기 위하여 만든 떡. 이레 되는 날 마마 수수떡을 만들어 앞뒷문에 놓고 지나가는 사람에게 먹게 하던 떡.
5, 인성만성 : 사람들이 많이 모여 혼잡한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그는 혈육을 찾는 이산가족들의 아우성으로 인성만성 복대기는 틈바구니를 비집고 나오느라 진땀을 흘렸다
6, 인정전(人情錢) : 고마운 뜻이나 또는 선심으로 주는 돈.
예)신 서방은 저잣거리를 돌면서 장사꾼들에게 인정전을 건네며 인맥을 관리하곤 했다.
7, 일매지다 : 모두 가지런하다. 모두가 고르고 비슷하다.
예) 둔산여고 학생들은 일매지게 아름다웠다.
8, 입매:‣음식을 간단히 조금만 먹어 시장기를 면함
‣입이 생긴 모양새.
예}그 아이의 고운 입매는 제 어머니를 닮았다.
9, 입매거리 : 겨우 허기나 면할 정도의 술이나 밥.
예)길동이는 입매거리로 대충 허기를 면하고 한양으로 떠났다.
10, 재장구치다 :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두 번째로 서로 마주쳐 만나다.
예)성현이는 대전역에서 우리 일행과 재장구치기로 약속하였다.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