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만난 사람]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

  • 사람들
  • 인터뷰

[현장에서 만난 사람]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

  • 승인 2016-10-30 10:19
  • 신문게재 2016-10-30 21면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창립 19주년 맞은 대전충남녹색연합 후원의 밤에서

‘이토록 아름다운 녹색’주제로 녹색 세상 외치다


“녹색의 반려자이신 여러분이 나눠주신 푸른 생명의 연두빛 사랑을 자양분으로 녹색 세상을 향한 발걸음을 힘차게 이어나가겠습니다.”

이동규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충남대 회계학과 명예교수)가 지난 27일 오후 7시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 1층 중회의실에서 열린 대전충남녹색연합(since 1997) 후원의 밤 ‘이토록 아름다운 녹색’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동규 대표는 “막힌 수문에 파랗게 질린 금강의 처절한 신음소리를 들었고, 갑천과 월평공원에 많은 생명이 있다고, 지켜야 한다고 수없이 외쳤다”며 “지치고 외로운 걸음이지만 후원자 여러분들이 함께 힘을 모아주셨기에 이 길을 갈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보에 막혀 흐름을 멈춘 채 죽어가는 금강을 살리기 위해, 개발사업으로 훼손될 위기에 놓인 갑천과 월평공원을 지키기 위해, 미래세대가 더 깨끗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환경운동은 멈추지 않고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힘차게 흘러 금강의 숨통이 다시 트이도록, 생명이 넘치는 갑천과 월평공원이 아름다운 공간으로 보전되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푸르름을 잘 지켜가는 일이 미래 세대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최고의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대전충남녹색연합은 1997년 창립해 1590명의 회원들과 함께 녹색 세상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며 “김은정 공동대표와 양흥모, 박은영, 김성중, 임종윤, 육정임, 양준혁 활동가 등과 더불어 시민들과 함께 아름다운 지구를 지켜왔다”고 말했다. 특히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정부 지원을 받지 않고 시민들의 후원과 참여를 통해 활동하고 있다”며 “후원자님들의 관심과 후원 덕분에 생명을 지키는 현장과 대안을 만들어가는 현장에서 녹색연합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었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이 대표가 소개한 대전충남녹색연합의 생명을 지키는 현장 활동은 ▲금강 유류오염과 녹조현장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정부 대책 마련 촉구 ▲갑천지구 개발사업 정책 대응과 대전시에 대안 제시 등 다양한 대응 활동 ▲선화초 백로 서식처 보전 활동 ▲제6회 맹꽁이시민모니터링 진행 ▲대전시 깃대종(이끼도룡뇽, 하늘다람쥐, 감돌고기) 보호 활동 등이다. 또 대안을 만들어가는 현장 활동은 ▲대전충남 탈핵, 에너지 전환을 위한 마을 절전소 운동 ▲대화동 빈들교회지역동센터 태양지공프로젝트 5호 진행 ▲석교동 녹색버스정류장도서관 진행중 ▲제11회 대전시민대기오염모니터링 진행 ▲제5회 대전 청소년 대학생 환경대상 및 청소년 일본 환경 연수 ▲미래세대 환경교육 ‘나는 월평공원 생태박사’진행 ▲에너지자립캠프 녹색태양학교 진행 ▲대전 최초 생태도감 <월평공원갑천 생태도감> 발간 등이다.

한편 이날 후원의 밤에서는 ‘와~人과 함께 즐거운 교류’시간에 이어 어쿠스틱밴드 1253의 공연과 감사인사, 참석자 전원 소개 코너를 통해 소통과 교류와 화합의 시간을 나눴다. 강혁 운영위원과 김영진 운영위원의 재능기부 시간도 마련됐다.

한성일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2.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3.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2.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3.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4.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5.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창의적 아이디어로 미래를 연다

헤드라인 뉴스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파면 vs 복귀’ 尹의 운명은… 헌재 4일 탄핵심판 선고 디데이

12·3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당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 내려진다. 앞서 탄핵 심판대에 오른 전직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른 핵심은 법률을 위반하더라도 위반의 중대성, 즉 헌법 수호의 관점에서 중대한 위법행위 판단 여부였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 모두 ‘헌재 결정 수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헌재가 어떤 판단을 내리더라도 정국 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헌재, 철저한 보안 속 선고 준비=윤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서..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