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병찬 한밭대 산업공학과 교수 |
이 책의 지은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서로 다른 주장이 있는데, 어떤 책에는 박세무라고 되어 있는가 하면 김안국이라고 되어있는 책도 있다. 나름대로 여러 기록들이 있었으나 1980년대 초에 최초로 인쇄된 '동몽선습'이 발견됨으로써 지은이는 민제인으로 밝혀졌다.
민제인(閔齊仁·1493~1549) 선생은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麗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이다. 1520년에 별시 문과(병과)에 급제해 호당(湖堂)에서 독서하다가 이듬해 승정원주서로 탁용되었다. 1525년 춘추관 기사관으로 다시 등용돼 사필(史筆)에 종사했고, 1528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1531년 이조정랑에 올랐다. 이어 성균관사성으로 승진했으며, 이때 문신제술시(文臣製述試)에서 수석을 차지했다.
'동몽선습'은 천자문을 끝낸 아이들에게 경학과 역사의 개요를 가르치기 위한 교과서로 엮어져 조선 숙종 이래 전국에 널리 보급되었다. '동몽'이란 어린아이라는 뜻이고 '선습'은 먼저 익힌다는 뜻이다. 한 마디로, 예전 아동교과서라고 알 수 있다. 먼저 천자문을 배운 다음 단계로 이 책을 교재로 사용했다. 초간본은 전하지 않으나, 임진란 이전의 중간본이 있다. 이 책은 목판본으로, '이묘신간'이란 간기와 지질로 보아 18세기, 정확히 1759년(영조 35 기묘)의 중간본으로 추정된다. 1541년 명종 때 쓰인 친필사본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소장돼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먼저 오륜의 하나하나를 각분하며 그에 대한 해설을 붙였으며, 이어 총론에서 오륜이란 사람도리의 자연적인 법칙으로서 사람의 모든 행실이 이에 벗어날 수 없다 하고, 효는 백행의 근원이 된다하여 사친의 도와 절차를 대표적으로 들어 말하였다. 다음은 삼황오제에서부터 명나라까지의 역대사실과 우리나라 단군시대부터 조선조까지의 역사를 약술하고 국가의 흥망도 역시 인륜에 좌우된다고 했다. 이는 학동들의 필수적인 교양서적으로 그들을 이해시키는 데는, 내용 자체가 보다 쉽고 문구가 간명해야 됨으로 그에 맞게 편찬한 것이다. 영조는 이 책의 중요성을 느끼고 운각에 인출을 명하며 널리 보급시키도록 했다.
권두에는 영조가 쓴 어제서(1742년 6월)가 있고 권말에 송시열이 쓴 발문(1670년 10월)이 있다. 발문에서, 총론중의 '이기성명설' 같은 것은 동몽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것일지라도 주자의 논인설로 미뤄 본다면 저자의 본의를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책은 세계 최초의 인성교과서로서, 앞에는 오륜을 총괄적으로 놓고, 다시 부자, 군신, 부부, 장유, 붕우의 도리를 다음에 열거했으며, 태극(太極)이 처음 나뉨으로부터 삼황오제와 하(夏), 은(殷), 주(周), 한(漢), 당(唐), 송(宋)을 거쳐 황조(皇朝)에 이르기까지 역대의 세계를 상세히 갖춰 기록하고, 우리나라에 미쳐서는 단군으로부터 시작해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또한 모두 기록했으니, 글은 비록 간략하지만 기록한 범위는 넓고 권은 비록 작지만 포함하고 있는 뜻은 크다.
이 책은 비록 명칭이 어린이 교과서로 되어 있지만, 오늘날 성인들의 자기 수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문화가 고도로 발달되고 산업화되면서 물질에만 탐욕이 생기고, 생존경쟁이 치열해져서 자칫하면 인간의 도리에서 벗어나고, 또 목표를 상실하게 되어 인생 항로에서 방황하기 쉽다. 어떠한 어려운 환경에 부딪혀도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신념을 갖게 하고, 또한 오늘날 인간답게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 길을 가르쳐 주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