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동몽선습 소고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동몽선습 소고

  • 승인 2016-10-26 11:05
  • 신문게재 2016-10-27 22면
  • 민병찬 한밭대 산업공학과 교수민병찬 한밭대 산업공학과 교수
▲ 민병찬 한밭대 산업공학과 교수
▲ 민병찬 한밭대 산업공학과 교수
이 책은 어린이들을 위한 우리나라 최초의 교과서로서 서양의 코메니우스의 책보다도 1세기 앞서는 점에서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성인이 된 연후에도 근본도리와 인륜을 배우지 못하는 오늘날과 비교하면, 진정한 배움이 무엇인지, 요즘 삶의 도리가 얼마나 퇴보하고 있는지 생각하게 한다. 오륜(五倫)에 이어 중국의 역사편과 우리나라 역사편을 일목요연하게 서술함에 있어, 양이 방대하고 빠짐없이 기록한 역사서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지은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서로 다른 주장이 있는데, 어떤 책에는 박세무라고 되어 있는가 하면 김안국이라고 되어있는 책도 있다. 나름대로 여러 기록들이 있었으나 1980년대 초에 최초로 인쇄된 '동몽선습'이 발견됨으로써 지은이는 민제인으로 밝혀졌다.

민제인(閔齊仁·1493~1549) 선생은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흥(麗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이다. 1520년에 별시 문과(병과)에 급제해 호당(湖堂)에서 독서하다가 이듬해 승정원주서로 탁용되었다. 1525년 춘추관 기사관으로 다시 등용돼 사필(史筆)에 종사했고, 1528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1531년 이조정랑에 올랐다. 이어 성균관사성으로 승진했으며, 이때 문신제술시(文臣製述試)에서 수석을 차지했다.

'동몽선습'은 천자문을 끝낸 아이들에게 경학과 역사의 개요를 가르치기 위한 교과서로 엮어져 조선 숙종 이래 전국에 널리 보급되었다. '동몽'이란 어린아이라는 뜻이고 '선습'은 먼저 익힌다는 뜻이다. 한 마디로, 예전 아동교과서라고 알 수 있다. 먼저 천자문을 배운 다음 단계로 이 책을 교재로 사용했다. 초간본은 전하지 않으나, 임진란 이전의 중간본이 있다. 이 책은 목판본으로, '이묘신간'이란 간기와 지질로 보아 18세기, 정확히 1759년(영조 35 기묘)의 중간본으로 추정된다. 1541년 명종 때 쓰인 친필사본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소장돼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먼저 오륜의 하나하나를 각분하며 그에 대한 해설을 붙였으며, 이어 총론에서 오륜이란 사람도리의 자연적인 법칙으로서 사람의 모든 행실이 이에 벗어날 수 없다 하고, 효는 백행의 근원이 된다하여 사친의 도와 절차를 대표적으로 들어 말하였다. 다음은 삼황오제에서부터 명나라까지의 역대사실과 우리나라 단군시대부터 조선조까지의 역사를 약술하고 국가의 흥망도 역시 인륜에 좌우된다고 했다. 이는 학동들의 필수적인 교양서적으로 그들을 이해시키는 데는, 내용 자체가 보다 쉽고 문구가 간명해야 됨으로 그에 맞게 편찬한 것이다. 영조는 이 책의 중요성을 느끼고 운각에 인출을 명하며 널리 보급시키도록 했다.

권두에는 영조가 쓴 어제서(1742년 6월)가 있고 권말에 송시열이 쓴 발문(1670년 10월)이 있다. 발문에서, 총론중의 '이기성명설' 같은 것은 동몽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것일지라도 주자의 논인설로 미뤄 본다면 저자의 본의를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책은 세계 최초의 인성교과서로서, 앞에는 오륜을 총괄적으로 놓고, 다시 부자, 군신, 부부, 장유, 붕우의 도리를 다음에 열거했으며, 태극(太極)이 처음 나뉨으로부터 삼황오제와 하(夏), 은(殷), 주(周), 한(漢), 당(唐), 송(宋)을 거쳐 황조(皇朝)에 이르기까지 역대의 세계를 상세히 갖춰 기록하고, 우리나라에 미쳐서는 단군으로부터 시작해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또한 모두 기록했으니, 글은 비록 간략하지만 기록한 범위는 넓고 권은 비록 작지만 포함하고 있는 뜻은 크다.

이 책은 비록 명칭이 어린이 교과서로 되어 있지만, 오늘날 성인들의 자기 수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문화가 고도로 발달되고 산업화되면서 물질에만 탐욕이 생기고, 생존경쟁이 치열해져서 자칫하면 인간의 도리에서 벗어나고, 또 목표를 상실하게 되어 인생 항로에서 방황하기 쉽다. 어떠한 어려운 환경에 부딪혀도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신념을 갖게 하고, 또한 오늘날 인간답게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 그 길을 가르쳐 주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2.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2.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3.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4.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5.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헤드라인 뉴스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일본 와카사철도, 대전서 희망찾기

일본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돗토리(鳥取)현의 철도회사 전무가 폐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전을 찾아왔다. 인구가 감소 중으로 철도마저 폐지되면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한국을 찾았다는 그는 윤희일 전 경향신문 도쿄특파원을 '관광대사'로 임명하고, 돗토리현 주민들에게 철도는 무척 소중하다며 지역 교류를 희망했다. 24일 오후 5시 30분 대전시 중구 베니키아호텔 대림 회의실에서는 야베 마사히코(矢部雅彦) 와카사철도 전무가 참석한 가운데 관광대사 위촉식이 개최됐다. 윤희일 전 경향신문 기자는 한국의 대표적인 철도마니아이면서, 일본 특..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 "처벌·제재로는 중대재해 못줄여"

국내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정부의 노동 안전대책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처벌과 제재 중심의 정책으로는 중대재해 예방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국내 기업 26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새 정부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도 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발표된 노동안전 종합대책과 관련해 기업들의 인식과 애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73%(222곳)가 정부 대책이 '중대재해 예방에..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