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도 생맥주처럼 즐길 수 있게 됐다. 사진은 드래프트 케그 시스템을 통해 막걸리가 추출되는 모습이다. |
▲ 이해미 경제과학부 기자 |
소주, 맥주, 막걸리 한정된 업계에 새로운 주류가 비집고 들어간다는 것은 ‘바늘구멍’과도 같다는 게 50대 벤처인의 하소연이다.
“요즘 누가 막걸리를 먹어?”
맞다. 소주, 맥주소비가 80%를 장악한 대한민국에서 막걸리는 비인기 주류다. 농촌에서 새참으로나 마시는 술로 전통 막걸리의 위상이 격하되고 있는 요즘이다.
여기에 용기 있게 도전장을 내민 ‘밀키비어’가 있다. 톡 쏘는 탄산 맛을 극대화시켜주는 호프식 드래프트 케그 시스템으로 내려먹는 막걸리다.
(주)한주DMS 이상철 대표가 10여년의 연구 끝에 특허를 받았고 현재 도매상을 통한 판로를 모색하고 있다. 밀키비어는 생맥주처럼 한잔씩 따라 마시는 것이 특징이고, 노년층은 물론 젊은층과 쌀소비국가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 대표의 밀키비어가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10년이라는 세월에 30억원의 개발비가 들었다.
‘막걸리 규제’라는 걸림돌 때문이었다.
주류시장은 좁다. 막걸리 시장은 더더욱 좁다.
지역에서만 유통돼야 한다는 오랜 올가미가 최근까지도 존재했기 때문이다. 요즘 지역 양조장이 예전만큼 부귀영화를 누릴 수 없는 것은 막걸리 유통규제로 판로를 확보하지 못한 탓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전국 수천 개가 넘던 양조장은 사라지고 통폐합 되면서 막걸리 시장은 더욱 협소해졌다.
지역 내에서 특색 있는 막걸리가 생산되고 지역 소비자가 소비하는 것은 이상적인 유통구조다. 하지만 불과 몇 년 전의 막걸리 유통은 ‘단절’의 역사를 걸어왔다.
아주 이상한 시스템이다. 지역의 경계를 넘어서는 안 된다는 암묵적인 합의라니. 막걸리 특성상 오랜 시간 이동과 보관이 불가하다는 점을 감안해도 이해할 수 없다. 만약 막걸리가 전국적으로 유통됐고 소비됐다면 맛은 더욱 업그레이드 됐을 것이고, 위상은 지금처럼 초라하지 않았을 것이다.
막걸리가 옛날 술이라는 오명 아래 도태된 것도, 국민의 입맛을 사로잡지 못한 것 모두 주류시장의 철옹성을 무너뜨리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럼에도 막걸리의 세계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치맥과 함께 한류푸드로 성장할 가능성도 충분해 보인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밀키비어의 10년간의 도전은 박수 받아 마땅하다.
물론 밀키비어 성공도 장담할 수는 없다.
이제 막 막걸리 시장은 규제라는 틀에서 한발 나아왔을 뿐이다. 막걸리 시장이 어떻게 철옹성 같은 주류시장에 탑승하게 될지는 앞으로 지켜볼 일이다.
철옹성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쳤던 10년의 시간동안 발효된 막걸리는 어떤 맛일까. 사회 곳곳에서 여전히 버티고 있는 규제와 모순, 아집에게 청량한 밀키비어 한잔을 권한다.
이해미 경제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