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희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
제레니리프킨이 말하는 것처럼 우리 주변을 둘러싼 모든 사물에 탑재된 센서와 이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사물 간 지능형 네트워크는 현실의 모든 것을 가상과 연결하여 유휴 자원을 공유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 혁명은 스마트폰 이전의 변화보다 더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할 것이고 이는 3차 산업혁명으로 이어져 새로운 사업 기회와 풍요로움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물 인터넷인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에너지 인터넷, 물류 인터넷은 현실계의 모든 정보를 데이터로 측정하고 축적하게 만들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해 물리적 제품의 생산과 유통에 들어가는 한계비용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터넷에 연결된 전기 자동차에서도 엿볼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 표준화되어 컴퓨터 부품처럼 전기차 생산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늘어나 제품 생산의 한계비용이 대폭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전기차에 부착된 센서와 이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는 이동의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시간과 연료를 절약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 등은 곧 전 세계의 모든 사용자들이 소규모 사업자가 되고 서로 협력적 공유사회 내에서 수평적 거래를 만들어냄으로써 수직 통합된 글로벌 기업의 경제 생태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발시키게 될 것입니다.
2014년 서울서 열린 제5차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5)에서는 청정에너지 공급, 전력망 통합, 에너지효율 향상, 청정에너지 분야의 인적자원 개발 등 4개의 대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CEM5에서는 IEA는 향후 5~10년 이내 상용화를 통해 청정에너지 보급에 기여할 수 있는 10대 혁신 기술(10 Breakthrough Technology) 등이 발표됐다.
10대 혁신 기술에서 중앙 집중형 공급원에서 분산형 전원으로의 변화나 에너지 효율 향상의 중요성, 그리고 ICT와 융·복합 추세 등은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환경변화 측면에서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를 근간으로 하는 분산형 전력공급체계 확산이 예상되며, 전력수요는 사용 편리성, 전기차 등 새로운 전기설비 보급 등으로 급증하는 반면, 화석연료 발전은 연료비 상승, 온실가스 등의 문제로 한계에 직면함에 따라 전력수요관리 핵심장치로서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관련된 에너지융합 시장이 급성장할 것입니다.
그간의 에너지정책은 에너지 다소비산업이 근간인 성장 패러다임에서 산업생산 증가에 따라 늘어나는 에너지수요에 맞춰 에너지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초점을 맞춰 왔습니다. 경직적 에너지 가격과 집중형 전력공급 등 공공부문 주도의 에너지 공급체계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수요관리에 기반을 둔 분산형 전력공급체계의 부상에 대비하고 기회 요인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에너지정책 패러다임을 수요관리 중심으로 전환하고 에너지산업의 경쟁원리 확대와 가격기능 활성화를 통해 이를 뒷받침하면서, 에너지 다소비산업의 구조조정과 경쟁력 제고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차원의 세부 실현전략으로 미래 유망 신산업 발굴ㆍ육성을 통한 신시장 개척을 위해 에너지 분야에 대한 첨단 핵심기술 개발로 신산업을 육성하고 비즈니스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 이를 기업과 연계하여 글로벌 진출을 꾀하는 데 있어서 에너지기술 전문가들의 끊임없는 노력 그리고 지역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로 할 것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