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화 청장과 고고학]'찍어서' 입학한 사학과 … 변기 닮은 돌보고 발굴현장 매료

[나선화 청장과 고고학]'찍어서' 입학한 사학과 … 변기 닮은 돌보고 발굴현장 매료

  • 승인 2016-10-11 12:03
  • 신문게재 2016-10-12 11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중도초대석] 나선화 문화재청장

“사학과에 들어간 것은 '찍기 신공' 덕분이었어요.”

나 청장과 사학과의 인연은 '운명'이었다. 학과를 고르다 '어디를 갈까요~'로 무심코 찍었지만, 그의 막내고모부는 신채호 선생과 역사책을 만들었던 장도빈 선생의 아들이다. 이런 인연으로 발해, 고려와 고구려의 역사를 습득하게 됐고 이후 러시아와 교류가 이뤄지면서 11년 동안 발해 유적 답사를 지속하는 힘이 됐다.

나 청장은 집안에서 당시 여성이라면 당연히 이화여대를 들어가야 했고, 문과 계통을 지원하라는 '압력'에 눈 딱 감고 한 곳을 지명한 것이 바로 사학과였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는 성경 문구(욥기 8장7절)가 연상되는 대목이다.

발굴 현장에서 나 청장의 활약은 남달랐다.

“이미 역사서 대부분을 탐독했던 터라 문헌중심의 고고학은 너무 무료했어요. 당시 경주 안압지 발굴을 위해 한학기 비웠던 교수님이 학기 말미 이상한 모양의 돌을 들고 강의실에 오셨죠. 교수님은 이 돌이 어떻게 사용됐던 것인지 모르겠다며 학생들에게 질문했지만, 아무도 대답하지 못했어요. 한참 후에 침묵을 깬 교수님은 '내 생각에는 수세식 변기같아'라고 말씀하셨어요. 저는 순간 문화 충격을 받았어요. 8~9세기 신라에 수세식 변기라니? 순간 문헌이 아닌 유물 중심의 고고학에 매료됐어요. 이후 발굴현장에 대한 동경이 생겼고, 평생을 현장에서 보내게 된 출발점이 됐죠.”

나 청장은 안정이 보장되는 교수직 보다 현장에서 살았다. 발굴 업무가 주인 대학박물관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다.

박물관을 움직이는 주체는 연구원임을 강조했고 한국박물관협회와 큐레이터협회를 만들어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개념조차 없었던 큐레이터와 학예사 등 박물관 전문인 양성의 기초를 쌓은 명실상부 고고학계 산증인이란 역사를 쓰고 있다.


▲나선화 문화재청장은

-1949년 서울출생
-상명여고, 이화여대 사학과 졸업
-이화여대 박물관 학예실 총괄 담당(1977년~2006년)
-한러 공동 발해문화유적 조사단 책임연구원 (1992년~1999년)
-한국 큐레이터 포럼 회장(2000년~2005년)
-한국박물관학회 이사(2004년~2011년)
-문화재청 문화재위원(2005년~2013년)
-한국문화공간 건축학회 이사(2006년~2011년)
-인천시 문화재위원(2005년~2013년)
-사단법인 생명과 평화의길 상임이사(2004년~2013년)
-문화재청장(2013년~현재)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