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초대석] 나선화 문화재청장
“사학과에 들어간 것은 '찍기 신공' 덕분이었어요.”
나 청장과 사학과의 인연은 '운명'이었다. 학과를 고르다 '어디를 갈까요~'로 무심코 찍었지만, 그의 막내고모부는 신채호 선생과 역사책을 만들었던 장도빈 선생의 아들이다. 이런 인연으로 발해, 고려와 고구려의 역사를 습득하게 됐고 이후 러시아와 교류가 이뤄지면서 11년 동안 발해 유적 답사를 지속하는 힘이 됐다.
나 청장은 집안에서 당시 여성이라면 당연히 이화여대를 들어가야 했고, 문과 계통을 지원하라는 '압력'에 눈 딱 감고 한 곳을 지명한 것이 바로 사학과였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는 성경 문구(욥기 8장7절)가 연상되는 대목이다.
발굴 현장에서 나 청장의 활약은 남달랐다.
“이미 역사서 대부분을 탐독했던 터라 문헌중심의 고고학은 너무 무료했어요. 당시 경주 안압지 발굴을 위해 한학기 비웠던 교수님이 학기 말미 이상한 모양의 돌을 들고 강의실에 오셨죠. 교수님은 이 돌이 어떻게 사용됐던 것인지 모르겠다며 학생들에게 질문했지만, 아무도 대답하지 못했어요. 한참 후에 침묵을 깬 교수님은 '내 생각에는 수세식 변기같아'라고 말씀하셨어요. 저는 순간 문화 충격을 받았어요. 8~9세기 신라에 수세식 변기라니? 순간 문헌이 아닌 유물 중심의 고고학에 매료됐어요. 이후 발굴현장에 대한 동경이 생겼고, 평생을 현장에서 보내게 된 출발점이 됐죠.”
나 청장은 안정이 보장되는 교수직 보다 현장에서 살았다. 발굴 업무가 주인 대학박물관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다.
박물관을 움직이는 주체는 연구원임을 강조했고 한국박물관협회와 큐레이터협회를 만들어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개념조차 없었던 큐레이터와 학예사 등 박물관 전문인 양성의 기초를 쌓은 명실상부 고고학계 산증인이란 역사를 쓰고 있다.
▲나선화 문화재청장은
-1949년 서울출생
-상명여고, 이화여대 사학과 졸업
-이화여대 박물관 학예실 총괄 담당(1977년~2006년)
-한러 공동 발해문화유적 조사단 책임연구원 (1992년~1999년)
-한국 큐레이터 포럼 회장(2000년~2005년)
-한국박물관학회 이사(2004년~2011년)
-문화재청 문화재위원(2005년~2013년)
-한국문화공간 건축학회 이사(2006년~2011년)
-인천시 문화재위원(2005년~2013년)
-사단법인 생명과 평화의길 상임이사(2004년~2013년)
-문화재청장(2013년~현재)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