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한진 을지대 가정의학과 교수 |
사람이 살면서 어떤 일이나 사람, 사건, 돈 등을 겪으면서 받는 마음의 상처를 스트레스라 한다. 개인적인 일들이 대부분이지만 사회적 문제도 스트레스가 된다. 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지고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기억 속에 쌓이고 쌓여 어느 한계치를 넘어가면 육체적 질병을 유발한다. 정리되지 못한 생각과 일들은 우리를 짜증나게 하고 감정 조절을 제대로 하기 어렵게 만든다. 분노조절 장애라 표현하는 사회 현상은 바로 이와 같은 혼란스러움이 만들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다. 사람은 스트레스 상태에 놓이게 되면 즉각 반응한다. 위험과 위기에서 생존을 하기 위한 반응을 시작한다. 이 반응을 주관하는 것이 바로 자율신경이다. 자율신경은 우리를 살아있게 한다. 심장을 지속적으로 뛰게 만들고, 호흡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체온을 조절해주고, 음식물의 소화와 혈압, 혈당을 조절한다. 잠을 잘 수 있게 해주고 분비물을 조절하는 기능도 있다. 사람이 생존하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기능이다. 자율신경에는 긴장과 흥분을 조절하는 교감신경과 안정을 도모하는 부교감 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긴박하고 위험한 상황을 이겨낼 수 있게 반응하는 교감신경은 에너지를 빨리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뇌를 활성화 시켜 판단을 즉각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근육과 심장을 자극해 힘을 쓸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부교감 신경은 안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편안한 상태로 쉽게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며, 식사를 하고 소화가 잘 되도록 만들어준다. 심장박동도 천천히 호흡도 천천히 유지해준다. 이렇게 긴장과 안정 상태를 잘 조절해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리가 사는 사회도 자율적인 기능이 있다. 전쟁에 대비해 장비와 군인을 유지하고 위기 상황 대처를 위해 안전관련 부서가 미리 대처를 하고 있다. 어른을 공경하고 노인과 어린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기 위한 사회 규범이 만들어져 있다. 또 사회의 부와 권력이 어느 한쪽으로 너무 치우치지 않도록 여러 법규가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이런 자율적 기능이 있더라도 지속적인 혼란이 발생하거나 갑자기 엄청난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사회 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 넘침과 모자람을 잘 조절해야 한다. 너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사회는 구성원 사이의 갈등이 심해져 극단적 폭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층간 소음으로 인한 살인극이나 보복 운전 등이 그 예다.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지속성 스트레스나 참기 어려운 엄청난 크기의 사회적 혼란은 빨리 해결해 내야 우리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개인적인 스트레스를 이기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 칭찬을 듣거나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매우 도움이 된다. 또한 행복해 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욕심을 줄이고, 작은 즐거움을 만끽하고, 감사한 마음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안정이 필요하다.
내일 아침에는 '국회가 국민을 위해 너무 잘했다' '노동자를 위해 헌신해준 사측에 정말 감사하다' '대한민국에 사는 것이 행복하다'와 같은 기사로 가득 찬 신문을 진정으로 보고 싶다.
오한진 을지대 가정의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