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스스로 목숨을 버린 KAIST 학생 5명 중 4명이 석ㆍ박사학위 과정 중인 대원생으로 나타났다.
이에 KAIST 대학원생의 학업부담 및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있다.
19일 KAIST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강성모 총장이 취임한 이후 현재까지 KAIST 재학생 중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학생은 5명이다. 이 중 지난 18일 운명을 달리한 수리과학과 3년차 박사과정생을 포함해 4명이 석사ㆍ박사학위과정 중인 대학원생이다.
앞서 KAIST에서는 2011∼2012년 KAIST 학부생 4명, 교수 1명이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당시 학생들의 자살 원인으로 KAIST 학부생들을 과도한 학업 부담을 부른 100% 영어수업, 차등 등록금제 등 서남표 전 총장의 KAIST 개혁이 지적됐다.
이에 서 전 총장은 물러났고, 이후 KAIST는 자체적으로 학부생들의 학업 부담을 덜어 주고자 여러 학업부담 경감 정책을 시행했다.
등록금 지원 제도 확장, 인문사회선택 영어강의 과목 최소 이수요건 폐지, 재수강 횟수 증가, 재수강 시 최대학점 증가, 기초 필수 강의를 한국어로 수강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학부생이 아닌 대학원생의 학업부담 및 연구환경 개선에 대한 정책은 부족했다는 게 일각의 목소리다.
KAIST는 2014년 10월 대학원생들이 보편적으로 인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골자의 ‘대학원생 권리장전’을 제정하고 선포했지만, 이후에도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목숨을 버리는 사건이 줄을 잇는 것은 권리장전의 실효성 유무에 의문이 가는 대목이다.
KAIST 한 대학원생은 “최근 일어난 사건에는 대학원생의 연구환경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며 “국내 최고 연구중심 대학의 위상에 맞게 인간다운 대접을 받으며 연구할 수 있는 연구환경이 절실하다”고 토로했다.
이에 KAIST는 2014년 KAIST 인권윤리센터의 문을 열어 학부생, 대학원생 등 모든 구성원의 인권 보호와 자살예방을 목적으로 사건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학업 부담 완화와 상담 기능 확대 등 자살 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ㆍ운영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백종우 자살예방협회 사무총장은 “대학원생들은 연구 실적, 앞으로 진로 고민, 연구실 내 문제 등 큰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 있지만, 학부생들과는 약간 다르게 대학원생들은 사회 활동보다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이 커 심리적 또는 정신적 문제가 있을 때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는 대학에서 발생한 자살을 대부분 개인적인 차원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으나 미국의 대부분의 대학들은 대학의 책임으로 생각한다”고 조언했다. 최소망 기자 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