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환경운동연합 등 시민·환경단체 회원들이 29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대전·세종·충남지역의 가습기살균제 피해현황 발표에 앞서 추모자들을 기리며 촛불로 40을 만들고 있다. 촛불로 숫자 40을 만든 건 이 지역 사망자 40명을 의미한다. 이성희 기자 token77@
|
대전환경운동연합 등 시민ㆍ환경단체는 이 같은 수치가 ‘빙산의 일각’으로 추정, 정부와 지자체가 잠재적 피해자 발굴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29일 이들은 대전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1년부터 지난달까지 대전ㆍ충남ㆍ세종 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현황을 발표했다.
이 날 발표 현황에 따르면 대전ㆍ세종ㆍ충남지역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180명(사망자 40명)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대전 105명(사망자 28명), 충남 64명(사망자 11명), 세종 11명(사망자 1명) 등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를 마친 1,2차 와 2015년 조사 중인 3차, 올해 4월 25일부터 접수 중인 4차 조사를 합친 수치다.
특히 대전의 경우 사망률이 타 시ㆍ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대전 피해자 사망률은 26.7%로 전국 평균 사망률 20%보다 크게 웃돌고 있다.
지난 1-2차 조사에서 피해자 38명 중 사망자 17명 57% 수준으로 절반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피해 사망자가 대부분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인데다 당시 대전에 20대~30대 젊은 부부 비율이 높아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또 이들은 앞선 3차례 조사보다 약 한 달간 동안 진행한 4차 조사에서 신고가 급증했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 이목이 쏠리면서 언론 보도를 통해 가려져 왔던 피해자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조사된 1874건의 접수조차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인구가 1000만 명에 달하며 20만∼220만 명이 잠재적 피해자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들 단체는 피해접수를 기다리는 식의 현재 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국가적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단체 관계자는 “신고 방법이나 복잡한 절차에 의해 접수를 못하는 피해자가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며 “가습기 살균제 사용 여부 전수조사, 전 국민 대상 역학조사, 전국의 지자체와 보건소에 신고소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던 이력이 있다면 모두가 잠재적 피해자라고 볼 수 있다”며 “피해 접수를 신청해 다양한 피해 사례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했다. 구창민 기자 kcm26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