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을 위한 예술활동보다 정말 예술을 하는 환경이 되길 바랍니다. 너무 서류에 갇히지 않고 최소한의 경제적 지원과 사회적인 우대를 기대해요.” (지역 연극인 A씨)
“지원금 받을 계획으로 전시 준비하다가 탈락하면 아르바이트 해야죠. 그림은 언제 그리고 돈은 언제 벌지 모르겠지만요.” (지역 미술인 B씨)
“예술인 표준계약서가 필수화됐는데 지역에서도 잘 챙겨줬으면 좋겠어요.” (지역 미술인 C씨)
지역 예술인의 고민이 깊다. 오롯한 예술 활동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이 해야 할 것과 하고 싶은 것을 놓고 혼란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전발전연구원에서 실시한 ‘지역 예술인들의 처우개선 및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한상헌ㆍ임재현 2015)’에 따르면 문화예술인 상당수가 대전에서 예술활동을 펼치는 데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문화예술 활동 및 창작발표 기회정도가 ‘다소 부족하다’거나 ‘매우 부족하다’고 생각한 응답자가 전체 중 67.5%다.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시의 지원 정도에 대해 응답자의 72.3%는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이중 37.2%는 ‘매우 부족하다’에 섰다.
문화예술 활동을 하다가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한계를 느꼈다고 응답한 예술인은 전체 응답자의 87.9%다. 사회적 평가ㆍ인식 수준 자체에 대한 설문에서는 ‘다소 낮다’와 ‘매우 낮다’에 62.8%가 응답했다.
지역 문화예술인 절반 이상이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드러냈다.
이 설문에서 응답자들은 시가 대전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역점 정책 순위 첫째로 ‘경제적 지원(37.8%)’을 꼽았다.
올해 3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2015 예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예술인 가구의 총수입은 평균 4683만원이며 이중 예술활동을 통해 번 돈은 연평균 1255만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영란 대전예총 회장은 “지역에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예술인이 많은데 이들은 예술활동에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 직업을 두세 개씩 갖고 있기도 하다”며 “대전문화재단에서 하는 사업은 복지보단 사업에 가까운 성격이 짙기 때문에 정말 어려운 예술인에 대한 조사를 충분히 해서 생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또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있지만 지역에 지역 예술인만을 위한 복지 시설 신설 필요성도 분명 있다”며 “아직 논의의 출발점에 서 있는 수준이긴 하지만 기대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효인 기자 hyo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