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으로 독자들에게 사랑받은, 추억의 코너를 되살려보기 위해 ‘송교수의 재미있는 우리말 이야기’ 시즌 2를 시작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편집자 주>
▲ 출처=농촌진흥청 요리백과 |
녹두를 물에 불리어 싹이 나게 한 나물을 숙주나물이라고 한다. 이 나물 이름이 숙주나물인 것으로 미루어서 우리는 쉽사리 조선조 초기의 명신 신숙주와 관련이 있는 일에서 유래된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호를 보한재, 희현당이라 한 신숙주는 1439년 문과에 3등으로 급제하여 집현전의 부수찬이 되었다. 그는 젊은 날에 장서각에 들어가서 평소에 보지 못한 책을 열심히 읽고 동료들 대신 숙직을 하면서까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공부하기가 일수였다.
세종은 그의 노력을 가상하게 여겨 어의를 하사하며 칭찬했다. 그는 세종으로부터 더욱 극진한 총애를 받아 일본 대마도와의 무역협정인 계해조약을 체결하는 등 국가의 중대한 일들을 맡아 성실히 수행했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는 그의 공이 가장 컸는데, 요동에 귀양온 명나라 한림학사 황찬을 찾아 13번이나 요동으로 왕래하여 음운에 관한 것을 의논한 것으로도 알 수 있다.
세조가 즉위하기 전에 사은사로 명나라를 간 일이 있는데 이때 그는 서장관으로 따라 갔었다. 뒷날 세조와 각별한 처지가 된 개인적 친분은 이때 맺어진 것이다.
과연 세조가 어린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았을 때는 의리를 저버리고 이에 가담했으며 가장 가까운 친구였던 성삼문과도 멀어지게 되었고, 성삼문이 단종을 도로 임금으로 모시려다 실패하여 모진 고문을 당하는 마당에서 모욕도 당하였다.
의리와 지조를 목숨같이 여기던 조선조 사회에서 이러한 보한재의 변절은 용납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그의 변절이 여름철에 가장 잘 쉬는 나물인 녹두나물과 그 성질이 비슷하다고 하여 숙주나물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다른 이야기로 세조에게서 극진한 총애를 받은 그가 평소에 녹두나물을 즐겨하여 밥상에 이 나물 반찬이 끊일 때가 없었다. 이 사실을 전해들은 세조가 앞으로 녹두나물을 숙주나물이라 부르라고 명령하여 오늘에 이른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왕소산인: 王蘇山人. 1940. 11. 1.).
/송백헌 충남대 국문학과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