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원역 외지인 역명 혼란

  • 사회/교육
  • 환경/교통

현충원역 외지인 역명 혼란

  • 승인 2016-06-06 17:02
  • 박수영 기자박수영 기자
현충원역서 대전현충원까지 거리 3.03km, 도보로 40분

역명만 보고 대중교통 이용때 낭패 불보 듯



6일 한국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할아버지의 묘소가 안장돼 있는 대전현충원을 찾은 정모(33)씨는 대전지하철을 이용했다가 불편을 겪었다. 노선표와 역사에 표기된 ‘현충원역’만 믿었다가 낭패를 본 것. 현충원역에서 내려 대전현충원을 가기 위해서는 40분 가량을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씨는 “대전현충원에 가려고 지하철을 타고 ‘현충원역’에서 내렸지만, 현충원은 없었다”며 “여기저기 물어보다 결국 버스를 다시 타고 이동해서야 현충원을 찾아 갈 수 있었다”고 말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 대전현충원을 찾은 외지인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2006년 대전도시철도 1호선 개통 당시 특정단체나 개인업체 등의 이름은 배제하고 공공성을 최대한 살려 역명을 선정했다.

도시철도 1호선의 현충원역(한밭대) 역시 알아듣기 쉽고, 부르기 쉽고 지역의 역사성과 향토성이 밴 명칭을 정한 것이다.

하지만, 대전을 처음 찾는 외지인들은 어리둥절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 현충원역에서 국립대전현충원까지 거리는 3.07km나 떨어져 있으며, 이곳을 가기 위해서는 버스로 추가 환승을 해야 한다.

더욱이 현충원역에서 도보로 갈 경우 약 46분이 걸린다.

특히 6일 현충일의 경우 참배객들을 위해 현충원역~대전현충원까지 운행되던 셔틀버스가 월드컵경기장 남문, 노은농수산물시장 중문, 월드컵경기장 지하철역 7번 출구 등 3곳으로 변경돼 운행되면서 혼란을 가중시켰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현충원역은 대전국립현충원과는 동떨어져 있어 쉽게 이용해야 하는 대중교통 역명으로는 부적합 하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자치구와 주민들은 기존 역 이름에 익숙하다 보니 이를 바꿔야 할 필요성을 못느끼는 반면, 이를 잘 모르는 외지인들은 혼동을 일으킬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박모(29ㆍ여)씨는“대전도시철도 1호선 역명에 ‘현충원역’이 있지만 현충원을 찾는 이들이 노선도만 믿고 현충원을 찾아가려면 낭패를 보기 쉽다”며 “당초 어떤 이유로 역사 명칭을 선정했는지 모르지만, 현충원역의 경우 승객들과 외지인들에게 혼란과 불편을 가중시킬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형 라이즈' 13개대학 643억 투입 83개 과제별 사업 수행
  2. 대선정국 도심단절 철도 도로 입체화 관철시급
  3. 이재명, 사법 리스크 극복하고 세 번째 대권 도전 성공할까
  4. 대전 기간제 교사 5년간 400여명 늘었다… 정교사는 감소세
  5. [홍석환의 3분 경영] 잃어버린 나
  1. '충청의 아들' 김동연 경선완주…'포스트 이재명' 입지 굳히나
  2.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경선압승 본선직행
  3. 급식 갈등 대전교육청, 조리원 배치기준 완화로 근본적 문제 해결 나선다
  4. [편집국에서]거짓말에 무게가 있을까?
  5. 6·3 조기대선 양당 경선 종반전으로… 충청 대선 시계 빨라진다

헤드라인 뉴스


국힘 안철수·한동훈 "이재명, 개헌없이 行首 완성?" 날세워

국힘 안철수·한동훈 "이재명, 개헌없이 行首 완성?" 날세워

국민의힘 안철수,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들이 28일 나란히 충청을 찾아 전날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재명 후보를 겨냥해 공세를 퍼부었다. 이 후보가 충청 핵심 현안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관련해 반드시 필요한 개헌을 언급하지 않는다며 비판, 날을 세운 것이다. 안 후보는 이날 국립대전현충원을 참배한 뒤 대전시의회 기자실을 찾은 자리에서 대전·충청·세종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은 세종 행정수도 완성과 AI·반도체·바이오산업 육성, 수도권·세종·대전 GTX 연계 등 "충청을 미래 성장 엔진으로 키우겠다"는 안 후보의 구상을..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5월 충북 1448세대 분양… 대전·세종·충남 분양 없어

충청권 내 5월 아파트 분양은 1400여 세대 규모로 모두 충북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세종·충남은 분 물량이 없어 '공급 절벽'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5월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22개 단지 1만 7176세대(일반분양 1만 106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일 실적과 비교해 7%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 1만1697세대, 지방 5479세대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 보면 수도권은 ▲경기 6603세대 ▲서울 4333세대 ▲인천 761세대가 예정돼 있고, 지방은 ▲부산..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예산 급감·정부 무관심 ‘도심융합특구’, 정치권이 불씨 살린다

정부가 지역소멸 해결을 위해 추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사업이 방치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씨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구체화 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추진 중인 5대 광역시의 국회의원들은 포럼을 만들어 공동대응에 나서고, 사업에 필요한 원활한 재원 확보를 위한 법률 개정안도 발의됐다. 우선 국회 도심융합특구발전포럼(포럼)은 4월 2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개최하고, 국회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민간, 학계 등이 모여 도심융합특구 추진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진다. 도심융합특구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모델 삼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대전 당원 만난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

  •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향토기업과 함께 대선 홍보…선거 김 출시

  • 유심 교체의 긴 줄 유심 교체의 긴 줄

  •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 내가 만든 모형항공기 하늘로 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