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사기를 높이는 것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11일 대전시·충남도교육청에 따르면 대전 교사의 명퇴 신청은 지난 2013년 상반기 86명에서 2014년 138명, 2015년 378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충남의 경우 2013년 156명에서 지난해 376명으로 2배 가량 늘었다.
이렇게 교단을 떠나는 교사들이 많아진 것은 최근 공무원연금개정 논의도 있지만 교권 추락도 한 이유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사의 55.8%가 ‘교권추락과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꼽았다. 또 교사 75%가 ‘최근 1~2년 사이 사기가 떨어졌다’고 답했다.
5년 전 63.4%보다 10%p 이상 높은 수치다.
교권 침해 등으로 상담을 받는 교사도 상당수다.
지난해 문을 연 대전교원심리상담 Tee센터에 교원침해 등으로 상담을 받은 교사는 315명이다.
현재 5월 기준으로 개인상담 575회 170명, 집단상담 5개교 55명, 힐링캠프 7회 90명이다.
교사들은 매년 달라지는 입시제도와 행정 잡무까지 겹쳐 가르치는 일에 집중할 수 없다고 호소한다.
교직사회에 자리한 이런 자조섞인 목소리는 교사들을 교단으로부터 떠나게 하는 이유다.
대전의 박모(42)교사는 “수업시간에 학생들은 버젓이 책상에 엎드려 잠을 자고 있고, 교사 혼자 칠판만 보고 수업하는 게 지금의 현실”이라며 “이것이 곧 공교육의 붕괴다. 교직에 대한 만족감과 자긍심이 상실된 지 오래”라고 말했다.
교육계 전문가들은 교사가 열의를 갖고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천세영 충남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권 확립이 곧 공교육 정상화로 가는 길이다. 교사의 ‘평가권’을 회복해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황원 목원대 미래창의평생교육원장은 “입시경쟁으로 인해 사교육은 과열되면서 학생들은 학교 교사보다 학원 강사를 더 신뢰하고 있다”며 “제도적 개선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입시체제를 개선해 나가는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성소연 기자 daisy8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